‘물포럼’ 대구, 빗물 재활용은 ‘글쎄’

  • 노진실
  • |
  • 입력 2012-06-05 07:49  |  수정 2012-06-05 07:49  |  발행일 2012-06-05 제6면
지자체 43곳 관련 조례 제정…체계적 관리 나서
대구시는 “투자 대비 효과 떨어져” 관리 소홀
수성구청 지역 첫 ‘빗물 프로젝트’도 흐지부지

세계 물산업 중심지로 도약을 준비 중인 대구시가 다른 지자체와 비교했을 때 빗물자원 활용에 소홀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서울을 비롯한 많은 자치단체가 관련 조례를 제정해 체계적인 빗물 관리에 나서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대구시와 지역의 대부분 일선 구(군)에선 빗물자원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조례 제정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2009년 수성구청이 대구·경북 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빗물관리 조례 제정과 빗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수성 빗물 프로젝트’를 추진했지만, 조직 개편으로 인해 흐지부지됐다.

대구시의 이같은 소극적인 자세와 달리 국내 주요 지자체는 빗물자원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4일 현재, 서울을 비롯한 부산·대전·인천·광주 등 전국 43개 광역·기초자치단체에서 빗물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경남도와 창원·양산·밀양 등지에서도 빗물 관련 조례 제정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의 자치단체에서 만든 빗물관리에 관한 조례는 그냥 흘려보내는 빗물을 모아 생활용수 등으로 재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빗물관리 기본계획 수립 추진 △건축물 신축시 관리시설 설치 권장 △빗물관리 시설 설치 지원금 지원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다.

2005년 12월 관련 조례를 제정한 서울시의 경우 조례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빗물 가두고, 머금기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이 사업은 서울에서 빗물의 땅속 침투율이 도시화 이전인 1962년 40%에 이르렀으나 최근엔 그 절반 수준인 23%로 크게 떨어져, 지하수 고갈과 하천 건천화, 지반침하로 인한 건물붕괴 등이 우려됨에 따라 마련됐다.

대구시가 빗물 관련 조례 개정에 소극적인 것은 적극적인 투자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여기다 다른 지자체의 빗물 관련 정책이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도 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진용환 대구시 환경녹지국장은 “빗물 조례 제정이 상징성은 크지만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그동안 검토하지 않았다. 대신 내년부터 시범 시행하는 물순환시스템구축사업을 통해 새로운 빗물 활용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빗물자원 관리 방안은 지난 3월 프랑스 마르세이유에서 열린 제6차 물 포럼에서도 논의됐을 정도로 세계적인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UN이 경고하는 물부족 국가에 포함될 것으로 보여, 빗물 활용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구의 한 환경전문가는 “2015년 경북도와 함께 제7차 세계 물포럼을 개최하는 대구시가 빗물자원의 관리방안 마련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해가 안된다. 물 산업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선 빗물관리 등 기초분야부터 차근차근 다져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