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당 독식에 종지부…‘집행부 견제’ 역할 기대감

  • 임성수 이현덕
  • |
  • 입력 2018-06-15   |  발행일 2018-06-15 제3면   |  수정 2018-06-15
TK 광역의회 양당시대
대구, 민주 계열 시의원 첫 배출
한국당 25·민주당 5명으로 구성
경북은 민주당 도의원 9명 ‘약진’
非한국당 출신 비율 30% 넘어서
권력 재편에 따른 여야공존 주목
20180615
地選 당선증 받고 기념촬영//14일 대구시 북구 경북도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6·13지방선거 당선증 교부식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당선자(오른쪽 넷째)와 임종식 경북도교육감 당선자(왼쪽 넷째)를 비롯한 비례대표 도의원 당선자들이 진성철 경북도 선관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대구에서는 27년, 경북에서는 23년 만에 더불어민주당 광역의원이 탄생하면서 대구시의회와 경북도회의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20년 이상 시·도의회는 한국당 계열 정당 의원들이 독식하면서 집행부에 대한 견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1991년 지방자치제도가 재도입된 이후 대구에서는 단 한명의 민주당 계열 지역구 시의원도 허락하지 않았다. 경북에서는 1991년 권오을 전 국회의원이 안동에서 민주당 간판을 달고 도의원에 당선된 것을 비롯해 1995년 영양에서 류상기 전 도의원도 당선됐지만, 이후 민주당 도의원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번 선거에서 대구의 경우 수성구 2명을 비롯해 북구·달서구에서 각 1명씩의 민주당 소속 대구시의원이 당선됐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비례대표로 당선됐던 서구 출신의 김혜정 시의원은 지역구(북구 3선거구)를 옮겨 재선에 성공했다. 수성구 1선거구의 강민구, 달서구 3선거구의 김성태 당선자는 구(區)의원에서 시(市)의원으로 급을 높였다. 수성구 2선거구 김동식 당선자는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보좌관 출신이다.

이로써 민주당은 비례대표 1명까지 포함해 7월 개원하는 제8대 대구시의회에 5명의 당선자를 입성시키게 됐다. 8대 대구시의회는 한국당 25명(비례 2명), 민주당 5명(비례 1명)으로 구성된다.

경북에서도 민주당 광역의원 후보 7명이 당선되면서 진보진영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경북에서는 무소속 후보도 9명이나 당선돼 한국당 일색이던 도의회의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비례대표 2명까지 포함하면 민주당 도의원만 9명에 달해, 무소속 및 바른미래당 비례대표 1명까지 합칠 경우 19명으로, 전체 도의원 60명의 3분의 1이 비(非) 한국당 출신으로 구성된다.

한국당 일색이던 경북도의회에 19명의 비 한국당 도의원이 입성하게 되면 의장단을 비롯한 각종 상임위원장 자리를 놓고 한국당 대(對) 비 한국당 의원들 간 신경전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그동안 집행부(경북도)와의 협조가 잘 이뤄져 의회의 견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아온 도의회가 권력 재편에 따른 여야 공존 상황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받고 있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는 대구경북지역 민주당 기초의원(시·군·구의원)들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대구에서는 46명이 출마해 무려 45명이 당선되는 기염을 토했다. 낙선한 지역구도 북구의 2인 선거구에 민주당 후보가 동시에 두 명 출마한 곳으로, 3인 선거구 두 곳에서는 출마한 민주당 후보 2명 모두가 당선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대구 전체 44개 기초의원 선거구 102석 가운데 한국당 53석, 민주당 45석으로 두 정당이 거의 양분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특히 수성구에서는 민주당 후보 9명이 당선되면서 8명 당선에 그친 한국당을 앞섰다. 비례대표까지 포함할 경우 민주당 10명, 한국당 9명, 정의당 1명으로 민주당이 다수 당이 돼 의장까지 배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중구에서도 민주당 후보 3명이 당선돼 한국당과 보조를 맞췄고, 이례적으로 달성군에서도 사상 처음으로 민주당 당선자(4명)가 달성군의회에 입성하게 됐다.

바른정당에서는 이번 선거에서 2석의 동구 기초의원만 확보하는 데 그쳤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30년 가까이 이어져 온 한국당 계열 지방의원 독식이 이번 선거에서 무너지면서, 단체장은 몰라도 적어도 지방의회에서는 정치적 다양성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무엇보다 그동안 집행부에 끌려다니다시피 했던 지방의회가 감시와 견제라는 본연의 기능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