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텍 환경공학부·수학과 국종성 교수. <포스텍 제공> |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감소하더라도 극한 엘니뇨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극한 엘니뇨'란 수온 상승과 함께 일 평균 강우량이 5mm를 초과해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26일 포스텍은 환경공학부·수학과 국종성 교수, 환경공학부 가이얀 파티라나(Gayan Pathirana) 씨 연구팀이 지구 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감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산화탄소 감축 상황에서도 극한 엘니뇨 발생 빈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극한 엘니뇨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증가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다시 감소하더라도 극한 엘니뇨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러한 예측은 탄소 저감 정책에도 불구하고 이미 고농도로 축적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로 인해 극한 엘니뇨의 발생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극한 엘니뇨의 영향권에 있는 지역은 기후가 변하는 '기후 상태 전환(climate regime shift)'을 겪을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와 열대 아프리카·열대 북부·남부 아메리카 지역은 겨울철 극한 엘니뇨 발생이 잦아지면 이듬해 봄에 강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봤다.
또, 남아메리카·호주 북서부·남아시아 지역에서는 평균 강우량이 감소해 사막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실제로 강수량 증가가 두드러졌던 북미·남미 서부 지역·열대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홍수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국종성 교수는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는 지속해서 기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장기적인 영향까지 기후변화에 의한 사회적 비용으로 평가해야 하고, 이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됐다.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