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때도없는뉴스] 2023년 02월 23일 간추린 뉴스

  • 김용국
  • |
  • 입력 2023-02-23 08:53

 

 

2월 23일 뉴스 브리핑
February 23rd News Briefing

1. 고위험 성범죄자 주거지 제한 ‘한국형 제시카법’ 추진

교육 시설 500m 내에 성범죄자의 주거를 제한하는 '한국형 제시카법' 도입이 추진 중입니다. 법이 시행되면 대구 도심에 거주하는 성범죄자의 외곽지역 이동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법무부는 지난달 26일 일명 '제시카법'이 담긴 '2023년 5대 핵심 추진과제'를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습니다. 오는 5월 제출 예정인 전자장치부착법 개정안 일명 '제시카법'은 미성년자 교육 시설 500m 이내에 재범 우려가 큰 성범죄자가 거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구 도심 학부모들은 대체로 입법 취지에 공감하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거주 이전의 자유가 침해될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교육시설의 밀도가 낮은 외곽 지역의 주민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는 우려도 나옵니다.

1. Promote a "Korean version of Jessica's Law" to restrict high-risk sex offender housing

The 'Korean Jessica Act' is being introduced to restrict sex offenders from living within 500 meters of educational facilities. If the law is enforced, sex offenders living in the center of Daegu will be forced to move to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 Ministry of Justice reported the so-called 'Jessica Law' to President Yoon Seok-yeol last month on the 26th, along with the 'five key initiatives for 2023'. The so-called "Jessica Law," an amendment to the Electronic Device Attachment Act scheduled to be submitted in May, aims to restrict sex offenders with a high risk of recidivism from living within 500 meters of educational facilities for minors. Parents in Daegu's urban centers are generally supportive of the legislation. However, some have pointed out that the freedom to relocate may be infringed upon, and there are concerns that residents of outlying areas with low dens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will be harmed.
 

2. 지역사랑상품권 구매 한도 월 70만원으로 축소

정부가 지역사랑상품권 1인당 구매 한도는 월 70만 원 이하, 보유 한도는 최대 150만 원 이하로 축소합니다. 가맹점 등록은 연 매출액 30억 이하인 경우에만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2일 "소상공인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상공인 중심의 사용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 2023년 지역사랑상품권 지침 개정안을 수립해 22일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하나로마트, 대형 식자재·농수산물도매점 등 대형마트나 대형병원과 같은 소상공인으로 보기 어려운 곳에서도 상품권이 사용되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에 따른 조치입니다.

2. Reducing the purchase limit of local love gift certificates to 700,000 won per month

The government will reduce the purchase limit for local love gift certificates to no more than 700,000 won per person per month and the holding limit to a maximum of 1.5 million won.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on the 22nd, "In order to support small businesses and enhance the effect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as established a revision of the 2023 Local Love Gift Certificate Guidelines centered on improving the use of small businesses and notified local governments on the 22nd." This is a measure in response to the pointing out that gift certificates are used in places that are difficult to see as small businesses, such as large supermarkets such as Hanaro Mart and large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 wholesalers, and large hospitals.



3. 옛 포항역 70층 주상복합 사업 순조…경북도 심의 남아

옛 포항역 자리에 70층 높이의 주상복합아파트와 호텔을 건설하는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습니다. 22일 포항시에 따르면 신세계건설은 최근 옛 포항역 지구에 70층 규모 주상복합 아파트와 호텔 1동의 건설을 위한 국토교통부 안전영향평가 심의를 마쳤습니다. 신세계건설은 앞으로 경북도 건축심의를 거쳐 주택사업계획 승인을 받으면 올해 중 착공할 예정입니다. 이강덕 시장은 "초고층 주상복합 랜드마크 건설을 시작으로 포항 도시브랜드 가치를 지속해서 높이고 시민 친화적인 정주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3. Former Pohang Station 70th floor residential complex project progresses...Gyeongsangbuk-do deliberation remains

A project to build a 70-story residential apartment and hotel on the site of the former Pohang Station is proceeding smoothly. According to Pohang City on the 22nd, Shinsegae Construction recently complete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safety impact assessment delibe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70-story 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 and one hotel in the former Pohang Station area. Shinsegae Construction is expected to break ground this year if it receives approval for the housing project plan through the Gyeongbuk architectural review. "Starting with the construction of a high-rise residential landmark, we will continue to enhance the value of Pohang's city brand and strive to create a citizen-friendly settlement environment," said Mayor Lee Kang-duk.


4. 중·남·수성구 미분양관리지역 재지정...동구·달서구 제외

대구 중구·남구·수성구와 경북 경주·포항이 주택도시보증공사 미분양관리지역에 재지정됐습니다. 동구와 달서구는 관리지역에서 빠지게 됐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이달 기준 대구 중구·남구·수성구를 비롯해, 경북 포항·경주시, 울산 울주군, 충북 음성군, 충남 아산시·홍성군, 전남 광양시 등 10개 지역을 제73차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한다고 지난 21일 공고했습니다. 이번에 충북 음성군과 충남 홍성군 2곳이 새로 추가되고, 기존에 관리지역이었던 대구 동구·달서구를 비롯해 경기 안성·양주시, 부산 사하구, 강원 평창군, 제주시 등 7곳이 빠지면서 종전 15개 지역에서 10개 지역으로 줄어들었습니다.
4. Redesignation of unsold management areas in Jung-gu, Nam-gu, and Suseong-gu...excluding Dong-gu and Dalseo-gu

Jung-gu, Nam-gu, and Suseong-gu, Daegu, and Gyeongju and Pohang, Gyeongbuk, have been redesignated as unsold management areas of the Housing and Urban Guarantee Corporation. Dong-gu and Dalseo-gu have been removed from the management area. The Housing and Urban Guarantee Corporation announced on the 21st that as of this month, 10 areas including Jung-gu, Nam-gu, and Suseong-gu, Daegu, Pohang and Gyeongju, Gyeongbuk, Ulju-gun, Ulsan, Eumseong-gun, Chungbuk, Asan and Hongseong-gun, Chungnam, and Gwangyang-si, Jeonnam, will be selected as the 73rd unsold management area. With the addition of two new regions, Eumseong-gun in Chungcheongbuk-do and Hongseong-gun in Chungcheongnam-do, and the removal of seven regions, including Dong-gu and Dalseo-gu in Daegu, Anseong and Yangju in Gyeonggi-do, Saha-gu in Busan, Pyeongchang-gun in Gangwon-do, and Jeju in Jeju, the number of regions was reduced from 15 to 10.

5. 대구 편입 군위 농·어촌버스 운행체계 변화 불가피

대구시에 편입되는 군위군 8개 읍·면의 농·어촌 버스 운행 체계도 큰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편입 이후 대중교통 분야의 가장 큰 문제는 농·어촌 버스 운행 유지 여부입니다. 관계 법령엔 광역시 산하 군에선 농·어촌 버스 운행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구시와 군위군은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는 한편, 여의치 않을 경우엔 농·어촌 버스의 '마을버스' '시내버스' 전환도 검토 중입니다. 한편 군위군에는 군위교통이 버스 10대로 52개 농·어촌 버스노선을 운행하고 있습니다. 성인 기준 1천원인 요금은 대구 편입 이후엔 1천250원으로 대구와 동일하게 조정됩니다. 군위군은 또 대구시와 협의해 편입 시점 이전까지 교통카드·환승체계 도입을 위해 버스 단말기 설치 등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5. Inevitable change in the operation system of rural and rural buses in Gunwi County

Major changes are expected to be made to the rural bus service system in the eight towns and villages of Gunwi County, which will be incorporated into Daegu City. The biggest issue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sector after the incorporation is whether to maintain rural bus service. The law stipulates that counties under the metropolitan city cannot operate rural buses. Daegu City and Gunwi-gun are pushing to revise the decree, and if that doesn't work, they are considering converting rural buses to "village buses" or "city buses. Meanwhile, in Gunwi County, Gunwi Transportation operates 52 rural bus routes with 10 buses. The fare of 1,000 won for adults will be adjusted to 1,250 won after the transfer to Daegu, the same as Daegu. Gunwi County also plans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bus terminals in consultation with Daegu City to introduce a transportation card and transit system before the time of integration.

6. 홍준표 "이재명 사건에 나를 끌어들이지 마라" 경고

홍준표 대구시장이 ‘홍준표 시장의 경남도지사 시절 경남FC 후원금 모집 과정도 수사·기소해야 한다’는 민주당 김성주 의원의 발언에 대해 22일 "자중하라. 더는 끌어들이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홍 시장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성남FC 사건은 문재인 정권때 시작한 사건 아니냐"면서 "계속 엉뚱한 짓 하면 사법적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고 일침을 놓았습니다. 홍 시장은 또 "내가 우리 당 당무에는 당고문 자격으로 적극적으로 의견을 밝히지만, 이재명 사건을 비판 안 하는 이유는 여소야대 국면에서 야당 도움도 받아야 하는 대구시장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6. Hong Jun-pyo "Don't drag me into the Lee Jae-myung case" warning

Daegu Mayor Hong Joon-pyo responded to Democratic Party of Korea lawmaker Kim Sung-joo's remark that "the process of recruiting sponsorship money for Gyeongnam FC when Hong Joon-pyo was governor of Gyeongnam Province should also be investigated and prosecuted." On the 22nd, Hong warned, "Be careful. Don't drag it out anymore," he warned. "Isn't the Seongnam FC case a case that started during the Moon Jae-in regime?" he asked on social media, adding, "If you continue to do something wrong, we have no choice but to take a judicial response." Hong also said, "Although I actively express opinions on our party affairs as a party adviser, the reason I don't criticize the Lee Jae-myung case is because it is the mayor of Daegu who needs to receive help from the opposition in the women's movement phase."

기자 이미지

김용국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