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요한의 도시를 바꾸는 시간] 가게가 사라지면 동네가 사라진다

  • 김요한 지역과 인재 대표
  • |
  • 입력 2025-07-23 06:00  |  수정 2025-07-22 16:48  |  발행일 2025-07-22
김요한 지역과 인재 대표

김요한 지역과 인재 대표

지난해 폐업 신고 사업자는 100만 명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생활 밀접 업종인 소매업과 음식업 비중이 전체의 약 45%를 차지했다. 특히 올해 1분기에는 30세 미만 청년 사업자는 1년 새 2만6천여 명이 감소해, 통계 집계 이후 최악의 수치를 보였다. 자영업자의 붕괴는 지역 상권의 몰락을 넘어 지역 공동체를 붕괴시키는 요인이 된다.


"1970년대 개장된 광덕시장, 전체 100여 개 점포 중 지금은 6곳만 겨우 영업 중, 곧 사라질 위기다." MBC 'PD수첩'이 지난 6월 '2060 두 소멸 이야기' 편에서 대한민국 인구구조의 축소판으로 대구시 남구를 주목했다. 두 소멸 이야기는 얼마 전, 독일의 사회·과학 유튜브 채널 '쿠르츠게작트'가 2060년 한국의 미래를 다룬 시뮬레이션 영상으로 시작한다. "South Korea is over, 대한민국은 끝났다." 이 영상의 결론이다. 방송을 보면서 문득 광덕시장을 지키고 있는 노포 빵집이 떠올랐다. 외관을 보면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묻어 있지만, 청년들의 SNS를 타고 추억의 옛날 빵을 찾는 손님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사장님을 찾으면, 주인 할머니께서 나오신다. 당신 홀로 얼마나 지키실 수 있을까?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잔뜩 위축된 가계의 소비심리를 회복시키는 마중물이 되길 기대하지만, 지역 상권 활성화로 이어지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의 보도자료에 의하면, 자영업자들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경영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4%), 인건비(22.3%), 임차료(18.2%) 등의 순이었다. 대부분의 자영업자가 인건비 부담 때문에 '나 홀로 사장'으로 버티고 있다.


어떻게 하면 '자영업 공화국의 눈물'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수요 측면에서 '회복의 마중물'이 있다면, 공급 측면에서는 '성장의 지렛대'가 필요하다. 바로 자영업자의 인건비 부담을 덜어주는 인력 지원이다. 정부가 나서서 생계형 자영업으로 뛰어드는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와 청년 예비 창업자에게 자영업 현장의 실무 경험을 연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자영업 운영과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일거양득의 효과가 기대된다. 동네에서 다리 하나만 건너면 수성구 상동시장을 지키는 노포 국밥집을 만날 수 있다. 갈 때마다 거의 만석이다. 자녀가 부모님을 도와 함께 운영한다. 동네를 지키는 노포 가게라면, 일본처럼 가업승계를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가게 하나가 사라지면, 동네 하나가 사라지는 것과 같다. 자영업이 살아야 머물고 싶은 동네가 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