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경상북도 문경시협의회. <강남진기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문경시협의회(이하 평통)가 국민세금으로 진행한 국외 연수에서 과도한 경비 지출과 부실한 숙박시설 제공 등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평통 문경시협의회 소속 자문위원 38명은 지난 6월 28일부터 7월 1일까지 3박 4일 일정으로 중국 연길·백두산·두만강 등 통일 역사 현장을 방문했다. 이번 연수는 자문위원 간 소통과 평화통일 의식 고취를 목적으로 진행됐다.
문제는 여행 경비다. 연수 참가자들은 문경시로부터 1인당 시비 124만6천 원을 지원받았고, 여기에 자부담 53만4천 원을 추가해 총 1인당 178만 원을 여행사에 송금했다. 총 연수비는 6천764만 원에 달한다.
하지만 관련 경비 산출 내역을 들여다보면 곳곳에 과다 지출 정황이 드러난다.
지역 여행업계 관계자 K씨는 "현지 항공료와 입장료, 식비 등을 감안해도 1인당 120만~130만 원이면 충분한 일정"이라며 "가이드 비용과 알선 수수료가 과도하게 책정됐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산출내역서에는 현지 가이드 비용이 1인당 13만 원(총 494만 원), 알선 수수료는 1인당 9만4천 원(총 358만7천200원)으로 명시돼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단가가 일반 수준을 크게 웃돈다"는 반응이다.
숙소 문제도 제기됐다. 연수 참가자 A씨는 "사전에 5성급 호텔이라고 안내받았지만, 실제로는 리모델링 중인 저급 수준이였다"며 "혼자 숙박하는 일부 위원은 3일 머무르는데 15만 원을 추가 부담했다"고 말했다.
시민단체와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세금이 투입된 공적 연수에 대해 감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문경시 관계자는 "예산은 평통 측의 요청에 따라 집행됐으며, 절차상 문제는 없었다"고 밝혔다. 반면 평통 문경시협의회 측은 "연수 일정과 비용은 위원 간 협의와 여행사 견적을 바탕으로 이뤄졌다"고 해명했다. 계약업체 여행사 대표는 "시기적으로 여행비가 비싸질 수 있다" 며 말을 아꼈다.
한편, 민주평통 사무처와 문경시가 관련 사실관계를 놓고 정식 감사에 착수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강남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