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경상북도 문경시협의회. <강남진기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문경시협의회(이하 평통)의 국외 역사탐방 연수와 관련(영남일보 27일자 인터넷 보도)해 과도한 예산 집행 및 회계처리의 투명성 부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연수는 지난 6월, 3박 4일 일정으로 중국 주요 지역을 탐방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총 경비는 1인당 178만 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문경시는 1인당 예산 124만 6천 원을, 참가자 자부담 53만 4천 원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일부 참가 위원들은 실제 연수의 질과 내용에 비해 비용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숙소가 리모델링 공사 중이어서 불편이 있었고, 항공료 등 세부 경비가 "과도하게 책정된 느낌"이란 불만도 제기됐다.
무엇보다 '공동경비'를 자부담 항목에 포함시킨 회계처리 방식이 논란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무자는 이에 대해 "참가자 자부담 비율 30%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설명했으나, 공공예산과 개인부담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예산이 혼합 운영됐다는 점에서 회계 공정성에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연수 참가자 전원에게 제공된 7만 5천 원 상당의 화장품 기념품 역시 '공동경비' 명목으로 처리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관련 지출 내역은 별도 보고 없이 구두로 마무리된 정황이 확인됐다. 한 위원은 "공식 정산서나 서면 보고 없이 넘어간 부분이 많다"며 "이런 방식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편, 연수를 담당했던 A여행사 대표는 영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일정과 가격은 사전에 협의된 것이며, 일부 항목은 오히려 여행사 측이 손해를 감수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해당 해명이 공공자금 사용에 대한 책임과는 별개의 문제라는 점에서, 논란을 진정시키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지역 시민단체와 평통 내부 일부 위원들은 이번 사태에 대해 "세금이 투입된 행사인 만큼, 예산 편성부터 집행, 정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자체 감사 또는 외부 감사가 필요하다"며, 문경시와 평통 측의 투명한 해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강남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