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만진 소설가
1920년 8월22일 '화씨 451'을 쓴 미국 작가 레이 브래드버리가 태어났다. 소설 제목의 화씨 451도는 섭씨 233도로, 종이가 불타기 시작하는 온도이다. 여기서 종이는 책이다. 즉 '화씨 451'는 디스토피아(dystopia)를 가리킨다.
디스토피아는 안티 유토피아(anti-utopia)의 다른 말이다. 책을 만들고 읽는 일이 금지되는 사회는 어째서 디스토피아인가? 책이 없는 사회는 사상의 자유가 박탈된 전체주의 국가이기 때문이다. 생각하는 일은 인간만의 특성인데, 그것을 못하게 하니 비인간화된다.
주인공 몬태그는 책 불태우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fireman이다. 그는 자신의 일에 어떤 사회적 문제가 있는지 아무 개념이 없다. 그렇게 살던 중 세상만사에 호기심을 반짝이는 소녀 클라리세를 알게 되면서 생각과 행동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모르는 것에 대한 호기심은 인간의 본능이다. 호기심이 있었기에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진화를 거듭해 만물의 영장이 되었다. 하지만 권력은 민중의 호기심을 억누르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중세 기독교 권력자들과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이 그 전형이다.
서양 중세는 라틴어 성경만 허용했다. 조선은 성리학 이외 연구자를 처단했다. 최제우는 '삿된 도로 정도를 어지럽힌 죄(左道亂正之律)'로 처형되었고, 양명학과 비슷한 논리를 주장한다는 이유로 이웃고을 대학자의 문집에 화형식을 내린 지역 서원도 있었다.
민중의 호기심이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성취를 거듭 이루어내면 세상의 기득권이 무너진다. 공동체 전체의 발전이 아니라 자신만의 권익을 추구하는 기득권자는 그런 일이 지속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그래서 역사에서 삭제해버린다.
이장손은 비격진천뢰를 발명해 임진왜란의 전세를 뒤집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그가 어떤 인물인지 써놓은 기록은 없다. 이장손보다 훨씬 그 이름이 유명한 장영실도 노비 출신 어머니를 둔 탓에 출생과 사망 연도조차 확인되지 않는다.
민주화가 이루어진 현대사회에서는 이장손과 장영실 같은 인물이 터무니없이 거세될 일은 없다. 과학시대는 화씨 451도 사회가 아니라 창의성을 기반으로 명성과 부유를 얻을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는 책을 '쓰는' 과학자가 아니라 '읽지도 않는' 기능인이 되기를 소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대학 입시의 각 학과 합격선에도 그런 사회병리가 짙게 반영되어 있다. 클라리세가 출현해 변화를 일으켜주어야 나라의 앞날이 밝아질 터인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