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무형문화재 '고산농악' 황선우·'가곡' 보유자 우장희 인정(종합)

  • 임성수
  • |
  • 입력 2023-01-11  |  수정 2023-01-10 16:57  |  발행일 2023-01-11 제12면

수성구 '고산농악' 황선우 단장과 '가곡' 보유자 우장희씨가 대구시 지정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됐다.

대구시는 지난해 6~8월 관계 학자·전문가 조사 이후 무형문화재위원회 조사, 인정 예고 등의 결과를 심의해 황선우 단장과 우장희씨를 대구시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을 결정했다고 10일 인정 고시했다.


clip20230109153649
'고산농악' 황선우 단장.
고산농악은 수성구 대흥동(옛 내환동)에서 자생해 전승되는 농악이다. 급격한 도시화로 마을 규모가 축소됐지만, 지역민에 의해 향토색 짙은 농악 형태가 전승되고 있어 1984년 대구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황 단장은 당제와 판굿에서 상쇠 역할을 맡아 경상도의 맛을 살려 연주했으며, 의례의 진행과 진법을 잘 이해해 단원들을 원활하게 진두지휘하는 등 예술적 완성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황 단장은 고산농악 창립 구성원의 2세로, 1975년 청소년 시절 입문해 자연스럽게 농악가락을 접했다. 2019년 전승 교육사가 돼 지금까지 고산농악보존회를 이끌고 있으며, 당제 복원과 상모 양성 등 단원과 지역주민들에게 농악을 전승하는 데 힘쓰고 있다.

황 단장은 "농악의 음악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시대적인 변화의 흐름 속에서 마을 농악을 잘 보존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크다"며 "사실 수성구에 체험 공간이 많이 부족하다. 지역민 누구나 체험할 수 있고 스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서 문화를 전승해나갈 수 있었으면 한다. 새로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장희
'가곡' 보유자 우장희.


대구시 무형문화재 '가곡'은 현대 우리나라 가곡 문화에 있어 매우 희귀한 지방의 가곡 명맥을 전승하는 종목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대구 정가 가곡 전승은 이기릉, 서석태, 권측이 등 대구지역 인물들에 의해 그 명확한 맥을 이어왔다. 1989년 종목 지정과 함께 보유자로 인정된 고(故)권측이씨가 2018년 작고함에 따라 보유자 자리가 공석이었다.

우장희(57)씨는 대구 가곡의 정통을 잇고 있고, 예술적 기량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시 무형문화재 가곡 보존회를 훌륭하게 이끌고 있어 보유자로 자격이 충분해 대구시 무형문화재 가곡 보유자로 인정됐다.

서민지기자 mjs858@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