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사칭’ 사기 기승…영주시, 지역 업체에 특별 주의 당부

  • 손병현
  • |
  • 입력 2025-06-15 17:29  |  발행일 2025-06-15

명함·공문서 위조해 물품거래 유도…

대응 체계 강화 및 수사 통해 엄중 대응 방침

위조된 영주시 공문서. 영주시 제공

위조된 영주시 공문서. 영주시 제공

최근 공무원을 사칭해 물품을 구매하려는 수법의 사기 행위가 경북 영주 지역에서도 잇따르고 있다.


영주시는 지역 업체를 대상으로 시청 소속 공무원을 사칭하거나 공문서를 위조해 거래를 시도한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지역 내 농업사와 인테리어 업체 등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 9일 한 남성이 영주시청 공무원의 명함을 내보이며 블라인드 업체를 방문해 견적서를 요구했다. 이튿날인 10일에는 농약 종묘사에 방역복 400벌 구매 요청 공문이 전달됐고, 특정 업체를 통해 물품을 구매한 뒤 납품하도록 유도했다. 종묘사 측의 의심으로 시청 총무과에 사실 확인이 이뤄졌고, 해당 공문은 위조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수법은 최근 전국적으로 빈발하는 공공기관 사칭 사기와 유사하다. 영주시는 이번 사안을 행정기관 신뢰를 훼손하는 중대한 범죄로 판단하고, 즉시 영주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앞서 군포시, 수원시, 화성시 등지에서도 공무원 사칭을 통한 관용차·컴퓨터·농기계 구매 시도 사례가 잇따랐으며, 영주시는 이 같은 사례들을 인지하고 지역 피해를 막기 위한 예방 홍보를 SNS를 통해 지속해왔다.


시는 특히 공식 문서 없이 전화나 문자로 물품을 요청하거나, 공문서에 개인 휴대전화 번호가 포함된 경우는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식 계약이나 발주 절차 없이 고액 거래를 요청하는 행위는 사기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시청 대표번호를 통한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


장해진 영주시 총무과장은 "최근 영주시청뿐 아니라 영주소방서, 울진소방서를 사칭한 물품 구매 사기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며 "업체들은 유사한 연락을 받을 경우 지체 없이 시청에 문의해 피해를 사전에 막아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현재까지 영주시에서는 금전 피해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시는 수법이 갈수록 정교해지는 만큼 유사 범죄를 막기 위해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수사를 통해 엄중히 대응할 방침이다.



기자 이미지

손병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북지역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