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오후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갑작스러운 폭우로 도로가 침수되자 경북119구조대 대원들이 고무보트를 이용해 수색 및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대구시 북구 노곡동 침수사고와 관련해 원인 조사 등이 진행 중인 가운데, 노곡동 빗물펌프장의 작동 상태와 수문 개폐 등에 대한 정보를 대구시와 북구청이 미리 공유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집중호우 시 변수가 될 수 있는 정보를 배수시설 양 관리 주체가 제대로 공유하지 않아 침수사고를 막을 선제적 대응을 하지 못한 것이 아닌지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3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침수사고 발생 전 노곡동 빗물펌프장에 있는 직관로 수문이 고장 등으로 제대로 작동이 안되면서 임시 조치가 된 상태였다.
대구시 측은 "노곡동 직관로 제작업체가 대구가 아닌 타지에 있고, 특허 기술이 쓰여서 그동안 수리가 잘 이뤄지지 못했다"라며 당시 임시 조치의 이유를 설명했다.
해당 수문은 침수 당시 알 수 없는 이유로 닫혀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구시는 침수 당시 수문 미개방과 제진기 가동 중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고지배수터널이 제 역할을 했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이번 사고의 정확한 원인과 직관로 수문 미개방이 침수사고에 미친 정도는 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다.
다만, 침수사고 전 이미 노곡동 배수시설의 불완전한 작동 상황이 있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관리 주체간 소통이 원활했는지 여부는 짚고 넘어가야 할 쟁점이다.
또한 대구시와 북구가 '수문'(직관로·고지배수터널) 개폐와 관련한 정보를 17일 이전에 서로 공유했는지 여부도 쟁점 중 하나다.
일각에선 17일 대구에 집중호우가 내리기 전 노곡동 배수펌프장 관리 주체(대구시)와 고지배수터널 관리 주체(북구청)간 배수 관련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을 의혹을 제기한다.
지역의 한 안전 관련 전문가는 "우수기에 배수시설 관리 기관들이 서로 부족한 점에 대해 정보를 주고 받고 대응을 해야 했는데, 그런 과정이 충분했는지 의문이다"라며 "정황상 직관로 수문 상태가 관계 기관·시설에 사전 공지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침수 원인을 두고 일부에서 '책임 떠넘기기'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1·2차 원인이 무엇인지는 일단 조사위원회의 발표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라며 "다만, 집중호우 전 배수시설 관리 기관들이 얼마나 정보 공유를 하고, 선제적 대응을 위해 노력했는지 여부도 또 다른 중요한 문제"라고 했다.
우선, 북구 측은 침수사고 전 빗물펌프장 직관로 수문 상태에 대해 따로 공지 받은 것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지는 이에 대한 대구시 측의 반론이나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차례 관계자에게 연락을 취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한편, 이번 노곡동 침수사고와 관련한 조사단의 조사 결과 발표가 4일 있을 예정이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