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침수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영남일보DB
지난 달 17일 발생한 노곡동 침수사고 당시 15년 전과 마찬가지로 제진기가 미작동되는 등 전반적인 배수 시스템의 문제 정황(영남일보 7월 17일자 보도 등)이 발견돼 논란이 이어진 가운데, 이번 사고 주요 원인으로 제진기와 직관로 수문 가동 상황 등이 지적됐다.
4일 노곡동 침수사고 조사단은 대구시청에서 '노곡동 침수사고 원인분석 결과' 브리핑을 발표했다.
조사단은 브리핑에서 이번 노곡동 침수피해의 핵심 원인을 발표했다.
첫번째 원인으로는 당시 직관로 수문 개도율이 저조했다는 점이 지적됐다.
조사단은 "노곡동 마을을 관통하는 직관로 수문은 평상시와 강우 초기에 마을의 우수를 금호강으로 직배수하기 위해 100% 개방(통수단면 확보)이 돼야 하나, 수문의 고장으로 인해 100% 개방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도시관리본부는 수문을 임시로 조치·고정하고 있었다"라며 "이번 호우발생 이전인 7월 11일부터 통수단면적의 3.18%만 개도(수문 높이 중 7.95㎝ 개방)해서 운영했고, 이로 인해 직관로의 배수능력을 상실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시설물 고장시 유지관리상의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두번째 원인으로는 제진기 막힘 현상 발생에 따른 작동기능 저하를 지목했다.
조사단은 "직관로 수문고장으로 인한 배수로의 기능상실로 직관로를 통해 배수돼야 할 상류유역 발생 홍수류와 유송잡물이 횡월류웨어를 통해 일시에 제진기 입구로 유입됨으로써, 제진기의 정상 작동을 방해했다"며 "특히 제진기 측 수로로의 유입 초기 단계에서 제진기를 즉시 가동해 유송잡물을 제거하고 배수능력을 확보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진기 가동이 늦어져 이미 쌓인 협잡물로 인해 제진기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세번째 원인으로는 고지배수로 입구에 설치된 침사지 운영방식이 고지배수로 설치 본래의 기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됐다.
이에 대해 조사단은 "침사지 상류산지에서 내려온 유송잡물이 홍수류와 함께 직관수로로 유입돼 하강 거치된 직관로 수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진기로 유입됨으로써 제진기 가동이 불가능하게 돼 침수피해를 가중시킨 원인이 됐다고 조사됐다"고 말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