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성] 포항과 영양의 차이

  • 김진욱
  • |
  • 입력 2025-11-13 08:02  |  발행일 2025-11-13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최근 전남, 제주, 부산 강서구, 경기 의왕시를 '분산에너지 특구'로 선정했다. 최종 후보지 7곳에 포함됐던 경북 포항, 울산, 충남 서산은 보류지역으로 선정됐다. 사실상 탈락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로 선정되면 해당 지역 내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기업에게 공급할 수 있어,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가 많은 첨단업종을 유치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선정된 4곳은 태양광, ESS(에너지 저장장치) 등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사업모델을 제시했다. 반면 포항은 청정 암모니아 발전, 울산과 충남 서산은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이 중심이었다. 기후부가 구체적인 탈락 이유를 밝히지 않았지만, 누가 봐도 재생에너지 비중이 낮은 게 탈락 이유다.


지난달 정부가 선정한 7개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지역 중 한 곳으로 경북 영양군이 포함됐다. 영양군은 농어촌 기본소득 지급에 필요한 재원을 일반재정외에 에너지시설에서 나오는 수익금으로 확보키로 했다. 영양에 있는 풍력발전 회사로부터 받는 수익금을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재생에너지 발전(發電)수입으로 농어촌 기본소득을 실현하려는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방향에 부합한다.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영양의 제안은 채택됐고, 그렇지 않은 포항은 탈락했다. 게다가 안정적 전력공급이 경쟁력 되는 AI(인공지능) 시대에 이재명 정부는 '에너지 믹스'라는 이름하에 재생에너지를 중심에너지로 삼으려 한다. 대구·경북이 이재명 정부 시대에 재생에너지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답은 정해져 있다. 김진욱 논설위원



기자 이미지

김진욱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