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을 가로지르는 구미국가산업단지 1호 교량인 구미대교(구미국가산업단지 1단지~2·3단지)의 재가설이 시급하다.
준공된 지 48년이 넘은 구미대교는 정밀안전진단에서 5차례 연속 C등급을 받았다. C등급은 보수가 시급한 상태로 2년마다 정밀안전진단을 받아야 한다.
구미시에 따르면 길이 688m, 폭 22m의 왕복 4차선 구미대교는 2년마다 받는 정밀안전진단에서 올해까지 포함해 5차례 연속 C등급을 받았다.
1974년 준공된 제1종 대형시설물인 구미대교는 당장 붕괴 위험은 없으나 작은 규모의 지진에도 '상판 흔들림'이 두드러지게 발생할 가능성이 커 매년 보수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구미대교는 구미산단 1단지~2·3단지, 구미시 강북~강동지역을 오가는 차량으로 붐빈다. 이곳을 통과하는 차량은 하루 적정 교통량(4만 대)을 훨씬 웃도는 6만대에 이른다. 통행 차량의 30%는 구미산단 수출업체의 화물 운송 차량이다.
이처럼 재가설이 시급한데도 불구하고 구미시는 예산 타령만 하고 추진에 손을 놓고 있다. 시는 수년 전부터 구미대교를 허물고 재가설(길이 570m, 폭 22m)을 검토했으나 1천500억원에 이르는 예산 마련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구미대교 재가설에는 국비 지원을 한 푼도 받을 수 없어 공사비 전액을 구미시가 마련해야 한다. 시는 올해 연말까지 2억5천여만 원의 보수비를 들여 구미대교 보강공사를 할 예정이다.
구미시의회에서도 시에 하루빨리 구미대교 재가설을 추진하라고 주문했다. 박세채 구미시의원(산업건설위원장)은 지난달 23일 열린 제261회 제1차 정례회 시정 질문에서 "구미대교의 지속적인 기능보강공사도 중요하지만, 노후화로 보강공사를 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기 전에 불안과 걱정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교량 건설이 시급하다"라고 주장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답변을 통해 "낡은 구미대교의 대체 교량 신설 또는 기존 교량 개체가 시급한 것은 사실이나 정부의 산업단지 지원에 관한 운영지침 제15조(준공된 산업단지 교량은 국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에 따라 재가설사업비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구미산단에서 일하는 한 시민(58)은 "시민의 안전이 달린 만큼 어떤 방법을 찾아서라도 하루빨리 새 교량을 만들어야 한다"며 "재가설의 필요성을 알면서도 예산 마련이 어려워 추진이 안 된다면 구미시와 시의회가 머리를 맞대 묘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종현기자 baekjh@yeongnam.com
준공된 지 48년이 넘은 구미대교는 정밀안전진단에서 5차례 연속 C등급을 받았다. C등급은 보수가 시급한 상태로 2년마다 정밀안전진단을 받아야 한다.
구미시에 따르면 길이 688m, 폭 22m의 왕복 4차선 구미대교는 2년마다 받는 정밀안전진단에서 올해까지 포함해 5차례 연속 C등급을 받았다.
1974년 준공된 제1종 대형시설물인 구미대교는 당장 붕괴 위험은 없으나 작은 규모의 지진에도 '상판 흔들림'이 두드러지게 발생할 가능성이 커 매년 보수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구미대교는 구미산단 1단지~2·3단지, 구미시 강북~강동지역을 오가는 차량으로 붐빈다. 이곳을 통과하는 차량은 하루 적정 교통량(4만 대)을 훨씬 웃도는 6만대에 이른다. 통행 차량의 30%는 구미산단 수출업체의 화물 운송 차량이다.
이처럼 재가설이 시급한데도 불구하고 구미시는 예산 타령만 하고 추진에 손을 놓고 있다. 시는 수년 전부터 구미대교를 허물고 재가설(길이 570m, 폭 22m)을 검토했으나 1천500억원에 이르는 예산 마련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구미대교 재가설에는 국비 지원을 한 푼도 받을 수 없어 공사비 전액을 구미시가 마련해야 한다. 시는 올해 연말까지 2억5천여만 원의 보수비를 들여 구미대교 보강공사를 할 예정이다.
구미시의회에서도 시에 하루빨리 구미대교 재가설을 추진하라고 주문했다. 박세채 구미시의원(산업건설위원장)은 지난달 23일 열린 제261회 제1차 정례회 시정 질문에서 "구미대교의 지속적인 기능보강공사도 중요하지만, 노후화로 보강공사를 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기 전에 불안과 걱정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교량 건설이 시급하다"라고 주장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답변을 통해 "낡은 구미대교의 대체 교량 신설 또는 기존 교량 개체가 시급한 것은 사실이나 정부의 산업단지 지원에 관한 운영지침 제15조(준공된 산업단지 교량은 국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에 따라 재가설사업비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구미산단에서 일하는 한 시민(58)은 "시민의 안전이 달린 만큼 어떤 방법을 찾아서라도 하루빨리 새 교량을 만들어야 한다"며 "재가설의 필요성을 알면서도 예산 마련이 어려워 추진이 안 된다면 구미시와 시의회가 머리를 맞대 묘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종현기자 baekjh@yeongnam.com

백종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