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북구가 지방 소멸안심지역으로 분류됐으나 이미 15%를 돌파한 노령인구 비율과 늘어나는 청년 인구 유출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 청년들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양질의 일자리가 최우선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연구원이 지난 13일 발표한 'K-지방소멸지수와 정책과제'에 따르면 대구 북구는 1.238로 비교적 낮은 지방소멸지수를 기록, 소멸안심지역(1.25-1.50)으로 분류됐다. 하지만 북구의 상황은 녹록지 않다. 특히 청년 인구의 경우 2011년 13만9천224명에서 2021년 11만8천324명으로 10년 새 15%나 감소했다.
2021년 북구의 청년 유출 사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직업'이 40.1%로 가장 컸으며, 다른 시·도로 전출한 인구 중 74%가 수도권으로 유출돼 지역 청년들의 수도권 집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 북구의 23개 동(洞) 중 16개 동이 노년 인구가 14% 이상인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이에 북구청은 역내 대학들과 연계해 청년들의 경제활동 기반을 조성하고 일자리를 확충하기 위한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청년들을 위한 창업공간을 무상 제공하는가 하면 컨설팅을 해 주는 코워킹 공간도 조성하고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한 경북대 인근 스마트타운 조성 등 인프라 개선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지방대학 지원과 지자체의 청년 정책들이 인구 유출, 최종적으로 지방소멸에 현실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지방 기업들은 관련 전공자를 채용해도 즉시 현장 투입이 불가능하고 교육 기간이 필요해 채용이 꺼려지는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반면, 지역 대학 졸업자의 경우 지역에 일자리가 없어 기업이 많은 수도권이나 대도시로 떠나게 되는 인력수급의 불균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지방거점국립대학인 경북대가 '반수(半修)의 성지'(영남일보 10월12일자 1면 보도)로 떠오른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다. 경북대는 전국 9개 지방거점국립대 중 4번째로 자퇴율이 높다. 경북대 학생 A씨는 "아무래도 수도권 대학을 나오면 취업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경북대가 대구경북에서 좋은 명성을 가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졸업 후 지역에 일자리가 없어 수도권으로 향하는 청년들이 대다수"라고 했다.
신형진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지방소멸은 인구 유출에 의한 요인이 가장 크다. 청년 유출의 주요 원인은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서다"며 "청년 유출을 막고자 한다면 지자체 차원의 지원들도 중요하지만, 결론적으로 정부가 획기적으로 지방에 양질의 일자리를 유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허문구 산업연구원 국가균형발전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은 지방대학 활성화를 통한 지방소멸 댐 역할 강화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교육 자율권 지방정부 이양을 통해 역내 기업들의 인재 양성 프로그램에 자율성을 보장하고,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지역 대학을 지원하기 위한 법률 개정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