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 9일 도청 미래창고(열린도서관)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지금의 지방분권 문제점을 지적하며 직원들에게 류성룡 선생의 '징비록'을 소개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직원들에게 서애 류성룡 선생의 '징비록'을 강력하게 권해 눈길을 끈다.
이 도지사는 지난 9일 경북도청 미래창고(열린도서관)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임진왜란의 상황을 자세히 묘사한 '징비록'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며 "징비록을 교훈 삼아 지금의 지방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창고'는 경북도청 안민관 1층 로비에 있는 도서관으로, 입구에 '먼저 읽은 책 한 권, 앞선 정책 만든다'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당직실이었던 이곳은 이철우 도지사의 제안으로 도민들의 책 쉼터이자 직원들이 정책을 연구하고 공부하는 지식저장 공간으로 변모했다.
이 도지사는 매일 이 곳을 방문한다. 책을 통한 지식축적과 창의적인 정책개발로 경북도가 주도하는 지방시대의 답을 찾을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이날 회의에서 이 도지사는 간부들에게 '징비록'을 소개하며 부패와 무사안일로 일관했던 당시 조선의 관료와 중앙집권의 폐해를 예로 들었다. 미리 방비를 하지 못해 전국이 불타버린 참혹했던 임진왜란의 경험을 간부들에게 상기시킨 것이다.
이 도지사는 "조선시대 중앙집권은 매우 심각했다. 대부분의 지방 관료는 한양에서 파견되어 가족은 한양에 있고 관료 홀로 지방에 부임했다. 그러니 지방에 애정이 없고 한양으로 돌아갈 기회만 노렸으며 수탈 또한 심각했다"며 "지방이 무너지니 나라도 무너져 내렸다"고 했다.
지금의 지방분권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는 "낙동강은 경북에 있는데, 환경부 관할이다. 금오공대 역시 경북에 있는데도 교육부 관할이다"며 "지방을 모르는 중앙에서 지역을 관리하니 엇박자가 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 도지사는 "징비록을 교훈 삼아 지방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수도권 중심의 판을 바꿀 수 있는 과감한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정책이 필요하다"며 "지방정부에 실질적이고 포괄적 권한이 이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공직자들도 불어오는 변화의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담담함과 미래를 준비하는 자세로 나아갈 때 경북은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도민이 살기 좋은 곳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