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리인상 이미지. 케티이미지뱅크 제공 |
26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을 제외한 주요 시중은행(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의 1월 신규 연체율은 평균 0.09%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0.04%)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신규 연체율은 당월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기준 대출잔액으로 나눈 것이다. 얼마만큼의 새로운 부실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셈이다. 지난해 1월 0.04%였던 4대 은행의 신규 연체율 평균은 3월(0.04%)과 6월(0.04%)까지 큰 변동이 없다가 9월 0.05%에 이어 12월 0.07%까지 상승했다. 지난달에는 0.09% 수준까지 높아졌다.
연체율은 가계와 기업 구분 없이 뚜렷한 상승세를 보인다. 기업의 신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1월 0.05%에서 3월 0.03%로 낮아졌지만 이후 6월 0.04%, 9월 0.06%, 12월 0.08%로 상승 그래프를 그렸고 1월에는 0.10%까지 치솟았다. 전반적으로 가계와 기업 모두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큰 변화가 감지되지 않다가 하반기부터 상승세로 전환하고 연말로 갈수록 높아진 뒤 새해 들어서도 상승 추세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지난 10일부터 카카오뱅크를 시작으로 5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등 10개 은행에 대한 결산 현장심사에 돌입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