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가 인구감소 돌파구 마련를 위해 '2023 인구대반전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 사진은 경북도가 지난해 추진한 경-북돋움 프로젝의 하나인 청년마을활력단 사업 행사 모습. 경북도 제공 |
경북도가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2023 인구대반전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이철우 경북지사의 철학인 '확실한 지방시대'를 열기 위한 돌파구 찾기에 따른 것이다.
경북도 인구대반전 프로젝트는 크게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 △경북 스테이 프로젝트 △경북형 소규모마을 활성화 사업 △이웃사촌마을 확산 사업을 포함해 4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은 지역 인재의 지역자원 발굴·개발을 통한 지역 내 정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한 로컬 스쿨 운영, 지역별 거점을 활용한 로컬 기획 전문 인력 양성, 체인지업 사업화자금 지원, 성장지원 등 4단계로 진행된다.
특히 올해 추진하는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은 청년 인구 유입을 목표로 연령 등 조건이 맞는 경우 전국에 거주하는 누구나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지역 인재'를 폭넓게 인정하고 있어 향후 이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해 실제 인구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스테이 프로젝트는 국가적 인구감소 위기 속에서 지역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대도시 생활(관계)인구 확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정주인구 유입을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는 경북형 작은 정원(클라인가르텐) 조성, 두 지역 살기 기반 조성, 유휴자원 활용 지역활력 사업, 1시·군-1생활(관계)인구 특화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현재 도내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참여 희망 시·군을 공모 중이다.
주민주도형 소규모마을 활성화 사업도 추진된다. 이 사업은 '삶터-일터-쉼터'로서의 마을 기능 회복을 목표로, 마을 주민이 필요한 것을 스스로 채워나가도록 지원한다. 특히 기존 읍·면 단위 마을가꾸기 사업성과가 주민들이 체감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인구감소 최전선에 있는 소규모 마을을 사업 단위로 설정했다.
주민 주도로 진행되는 마을별 사업에 경북도는 조력자 역할을 하며, 자생력 있는 마을, 지속가능한 마을을 조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도내 모든 마을을 대상으로 '소규모 마을 유형화 작업'을 진행해 '경북형 소규모마을 활성화 전략 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주민들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할 계획이다.
이웃사촌마을 확산 사업은 의성군 안계면 일원에 이미 추진된 시범사업으로, 이를 보완해 영천시 금호읍과 영덕군 영해면 일원에 4년(2022∼2026)에 걸쳐 추진하며 '청년이 돌아오는 지역'을 만드는 청년·지역주도 미래경북형 마을 조성사업이다.
시범사업은 외부 유입 청년을 주요 대상으로 했으나 확산 마을은 지역 청년과 주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며, 청년층과 장년층 등 세대 간 융합을 기반으로 지역 공동체 중심의 마을을 만들어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한민국 어디에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지역 대학과 지역 주력산업 간 연계를 통한 지역인재 육성과 지역 정착 지원정책들을 마련해 경북에서도 서울에 버금가는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작은 서울'들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