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청사 전경. |
경북도가 정부의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앞두고 우선 유치 전략으로 김천혁신도시 내 1차 이전기관과 연계한 30여 개 공공기관을 유치 대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9일 확인됐다.
정부는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관련, 올해 이전 대상 기관과 입지 원칙 등 기본계획을 수립해 6월 중 발표하고,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이전을 원칙으로 하반기에 임대 기관을 우선적으로 이전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경북도는 균형발전특별법에 따른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대상 기관을 220여 개로 추정 분류하고, 정부 방침에 맞춰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유치 전략을 수립했다.
우선, 수도권의 임대 청사 기관을 김천혁신도시 내 공실(空室)과 산업기반을 연계한 과학·산업 임대기관에 유치하는 것과 함께 1차 이전한 기관의 기능과 지역 전략 산업을 연계한 공공기관 유치가 목표다.
다음으로, 향후 정부의 입지 기준 및 이전 대상 기관 등 기본계획 발표에 따라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전략산업을 연계해 공공기관 유치를 후속적으로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우선 유치 대상기관으로 김천혁신도시 내 1차 이전기관인 12개 공공기관과 연계해 30여 개 기관을 정했다.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김천은 유일하게 혁신도시 내 KTX 역사가 있으며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도로·교통 기능 군의 앵커 공공기관이 이전해 있고 쿠팡, 우진산전 등 물류기업의 투자가 이어져 스마트물류 거점도시로 변모해가고 있다.
경북도는 2차 공공기관 이전의 가장 큰 주안점을 분야별 1차 이전기관과 연계하면서 지역 신산업과 가장 밀접하고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공공기관을 유치하는데 뒀다.
분야별 목표 기관을 보면 도로교통 분야의 경우 스마트도로 건설, 통합신공항, 철도특구 지정 등과 연계돼 있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10여개 기관이다.
물류 분야는 도로·철도·항공을 아우르는 스마트 종합물류 거점도시로 확장을 위해 △우체국물류지원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등의 기관을 선정했다.
에너지 분야는 혁신도시의 한국전력기술, 경주의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포항의 2차전지·수소에너지 클러스터 등을 연계하기 위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등의 기관을 선정했다.
이와 함께 법률·농업분야에 △정부법무공단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등 기관과 그 외 △한국국방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30여개 공공기관을 유치 대상기관으로 선정하고, 향후 적극적인 유치전을 전개할 방침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수도권 병(病)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의 대규모 공공기관을 과감하게 지방으로 이전해 산·학·연 상생협력을 통한 지역 산업과 기업의 동반 성장으로 대한민국 어디서나 잘 살 수 있는 확실한 지방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