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1년 간 대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19% 가까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의 전년 동월대비 변동률은 -18.9%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로는 지난 1년 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17.2% 떨어졌다. 전국 17개 시도 중 하락폭이 가장 큰 지역은 인천(-21.5%)이다. 이어 세종(-19.9%), 경기(-19.8%), 대구(-18.9%), 대전(-18.1%), 부산(-16.6%), 서울(-16.6%) 등의 순이다.
대구는 지난해 1월부터 전년 대비 마이너스 추세로 돌아섰다. 대구와 세종을 제외한 다른 지역 대부분이 지난해 7월부터 전년 대비 마이너스로 전환된 것보다 이른 침체를 겪은 것이다.
"특히 2021년에 상승세가 컸던 경기·인천 지역의 하락 전환이 가팔랐다.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하락세가 큰 지역들은 공통적으로 저금리 시기에 높은 가격 상승을 보였던 곳들"이라는 게 직방 측의 설명이다.
올 들어선 수도권 3개 시·도와 세종시에서 부동산 규제 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단기간 가격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일부 반등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들 지역은 여전히 전년 대비 10% 이상의 높은 하락세를 보였다. 대구를 비롯한 다른 시도의 경우 작년 대비 하락률이 다소 둔화되고 있지만 아직 반등 신호를 보이진 않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수도권 등에서 일부 반등 조짐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고금리와 높은 가격으로 인해 긴 시간 관망 포지션으로 대기해야 했던 매수 희망자들이 일부 거래에 참여하면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며 "미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등 긴축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 시점에서 섣부르게 향후 시장 동향을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