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은 13일 논평을 내고 "경북도는 도청신도시의 발암물질 노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경북도당은 "경북도청신도시 인근에 위치한 경북바이오산단 내 안동복합화력발전소 2호기 설치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결과, 도청신도시지역이 발암물질 위해도 기준치 초과 권역에 모두 포함된 것으로 평가됐다"면서 "조사된 내용을 보면 풍산 매곡리와 풍산초·풍산중·풍산고 주변의 경우 염화비닐은 17개 지점에서, 니켈과 비소는 19개 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했고 포름알데히드, 6가크롬, 카드뮴, 벤젠은 모든 지점에서 발암위해도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조사에서도 경북바이오산단에서 노출 확인된 발암물질은 비소, 카드뮴, 6가크롬, 니켈,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등 총 6종에 달하며 이 가운데 카드뮴과 니켈을 제외한 모든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2026년 신규 가동을 앞두고 있는 남부발전 안동 2호기 가동 여부와 관련 없이 현재 상태에서도 발암물질 위해도가 기준치를 초과한다는 조사결과로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북도당 관계자는 "문제는 행정기관과 학교, 상가 등이 밀집된 도청신도시 3만여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발암물질이 어디에서 발생되는지 아직 제대로 확인되고 있지 않다는데 있다"면서 "신도시 주민들은 11개 시·군 생활폐기물 하루 390t, 음식물류폐기물 120t을 소각 처리하는 경북북부환경에너지 종합타운(맑은누리파크)에 의구심을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월3일 맑은누리파크 화재 이전에도 2022년 한해동안 1호기는 155일간, 2호기는 137일간 각종 사고로 멈추는 등 주민들은 화재복구와 재가동이 아닌 시설 폐쇄를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경북도당은 "경북도는 더 이상 도청신도시 주민들의 발암물질 불안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전수조사를 통해 그 근원지를 밝히고, 폐기물 소각장 권역별 분산과 발암물질 저감시설 확충 등 조속히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