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주댐 건설사업 집단 고충민원 현장 조정회의에서 참석자들이 '댐 사업 준공 조정·합의서에 서명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남서 영주시장, 강성국 영주댐발전협의회 위원장,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 한화진 환경부장관, 이철우 경북도지사,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영주시 제공 |
![]() |
영주댐 건설사업 집단 고충민원 현장 조정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댐 사업 준공 조정·합의서에 서명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영주시 제공 |
경북도와 영주시, 환경부, 국민권익위원회,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9일 한국수자원공사 영주댐지사에서 '댐 사업 준공 조정·합의서 서명식'(이하 서명식)을 갖고 영주댐 준공을 약속했다.
영주시에 따르면 이날 서명식은 영주댐의 준공을 위해 이달 안에 모든 행정 절차를 신속하게 완료하기로 합의하고자 마련됐다.
서명식은 지난 2월 영주댐 발전협의회가 시민의 염원을 담은 '영주 다목적댐 준공 요청' 민원을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권익위)에 제기한 데 이어 같은 달 21일 권익위의 민원현장 방문 시 400여 명의 시민이 '영주댐 준공'을 위한 궐기대회를 여는 등 영주시민의 의지를 강하게 표현하면서 이뤄졌다.
민원이 정식으로 제기되면서 권익위의 중재 하에 환경부, 문화재청, 한국수자원공사, 경북도, 영주시가 '지역 발전과 시민 불편 해소'라는 목표를 가지고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이견을 조율했다.
특히 박형수(영주·영양·봉화·울진) 국회의원이 영주댐 준공 승인을 위해 지난 2년간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 권익위 등과 수십 차례 협의를 진행하는 등 노력했다.
서명식에서 박남서 영주시장은 "영주시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박형수 의원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영주댐 준공을 앞당길 수 있었다"며 "댐 준공 이후 광활한 수변 자원을 활용한 개발사업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민 불편이 해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 의원도 "7년간 지체되었던 댐 준공이 권익위 조정으로 이뤄진 것은 영주댐발전협의회 등 영주시민의 염원이 만든 결과"라며 "댐 준공 승인·고시 등 후속 행정 절차가 신속히 진행돼 이달 중 준공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영주시 평은면 금광리 일대에 조성된 영주 다목적댐은 한국수자원공사가 2009년 사업을 착수해 2016년 본댐이 조성됐다. 하지만 현재까지 전체 영주댐 건설사업 미준공으로 각종 개발사업이 지연돼 지역 주민의 불편이 가중됐고, '댐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준공이 안 된다'는 여론도 형성돼 시민의 불안감이 증폭됐다. 게다가 기관 사이의 이견과 문화재 이전·복원 사업 일부가 지연되면서 영주댐 준공에 차질을 빚어왔다.
손병현기자 why@yeongnam.com

손병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