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염색산업단지 관리공단 열병합발전소. 영남일보 DB |
대구시가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발굴에 나선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상세화할 중장기적 전략 및 활성화 계획 수립으로 정부 정책 기조에 맞는 기후 위기, 탄소 중립 등 환경 문제에 선제 대응하겠다는 게 시의 구상이다.
대구시는 지난 13일 제6차 지역에너지 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용역 결과는 올해 말 도출한다. 세부 내용은 △친환경 에너지 사용 대책 △에너지 이용 합리화 및 온실가스 감축 대책 △집단에너지 공급 대책 △미활용에너지원 개발 사용 대책 △에너지 복지 및 에너지 안전 사회 구축 등이다.
에너지가 자연, 사회, 환경 등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지정학적 위치·면적·기후 여건·인구 변화 추이·주택 보급률·생산 가능 인구 등을 분석하며, 에너지 생산 추이와 소비량을 비롯해 자동차 증가율 등도 용역 내용에 포함된다.
주목되는 사항은 온실가스 감축이다. 최근 17개 광역시·도는 탄소 중립 실천 계획을 마련해 환경부에 제출했는데,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약 40% 이상 감축하겠단 목표를 제시했다.
대구는 2018년 약 900만t인 자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45%, 2040년까지 70% 감축하고 2050년 배출량이 '0'인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누적 6천만 그루 나무 식재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 숲 조성 등을 골자로 한 'FOREST 대구 프로젝트'를 전면에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수송 분야도 주요 연구 대상 중 하나다.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환경 오염 물질 배출 걱정이 없는 친 환경 자동차의 다변화를 통해 '녹색 환경'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대구 전기차 등록 대수는 2021년 1만6천185대에서 2022년 2만4천161대, 지난해 3만396대로 2년 새 87.80% 늘었으며, 수소차 등록 대수는 2021년 318대, 2022년 557대, 2023년 629대로 97.80% 증가했다.
집단에너지 공급도 대구시가 고삐를 죄고 있는 사안이다. 집단에너지는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남는 열에너지를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구조를 일컫는다. 시는 전력 수급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 방안을 세우는 동시에, 이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한 해결책도 함께 마련할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통해 에너지 시장에서 대두되고 있는 에너지 고갈 문제, 환경 문제, 기후 이슈 등을 전면적으로 조사해 녹색 에너지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라며 "대구시 솔라시티위원회 및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 분야별 전문가로부터 자문받고, 취합된 의견을 용역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동현기자 leedh@yeongnam.com

이동현
산소 같은 남자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