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서재] 간결한 문체·완벽한 서사로 모험적 삶 그린 문학 거장, 어니스트 헤밍웨이

  • 조현희
  • |
  • 입력 2024-08-16  |  수정 2024-08-16 12:27  |  발행일 2024-08-16 제14면

ErnestHemingway
미국의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위키백과 제공>
9788937462788

"인간은 파멸할지언정, 패배하진 않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 나오는 명문장이다. 간결하고 절제된 표현이지만, 헤밍웨이의 모험적인 삶을 엿볼 수 있다. 미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인 그도 여느 소설가 못지않게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 갔다.

1899년 태어난 헤밍웨이는 일리노이주 오크 파크에서 부유한 유년기를 보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캔자스시티 스타'에서 6개월간 기자로 일했다. 이때 그가 근무한 언론사의 편집 방향은 헤밍웨이 문체의 기초가 됐다. "짧은 문장을 써라. 첫 단락은 짧게 써라." 헤밍웨이는 복잡한 문장 구조를 지양했는데, 실제 그가 쓴 전체 문장의 약 70%가 종속절이 없는 단문 형태로 이뤄져 있다.

이후 이탈리아 군대에 입대했는데, 심한 부상을 입게 된다. 이때 겪은 전쟁 경험은 그의 소설 '무기여 잘 있거라'의 기초가 된다. 그는 총 4번의 결혼을 했는데, 1921년 그중 첫 번째 아내인 해들리 리처드슨과 결혼했다. 부부는 헤밍웨이가 해외 특파원으로 근무한 곳인 파리로 이사 갔다. 헤밍웨이는 소위 '잃어버린 세대'라고 불리는 1920년대 근대주의적 예술가들의 영향을 받고 1926년 첫 소설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를 냈다.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의 혼란스러운 시기를 배경으로 방황하는 젊은 세대의 이야기를 그렸다.

2차 세계대전 중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파리 해방 전투에 기자로 참여했다. 1952년엔 대표작 '노인과 바다'를 출판하고 2년 뒤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수상 당시 위원회는 '노인과 바다에서 보여준 서사 기술의 완벽함과 현대적인 스타일을 구사한 공적'을 수상 사유로 삼았다.

이후 아프리카의 사파리로 떠난 그는 여행 중 두 차례의 비행기 사고를 당해 남은 생 대부분을 병과 함께 지냈다. "오랫동안 죽음에 대한 공포에 시달렸지만 공포에서 벗어나니 편안함을 느낀다"는 메모를 남기고 61세에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조현희기자

기자 이미지

조현희

문화부 조현희 기자입니다. 주말섹션과 연극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위클리포유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