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는 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위탁단체마다 내부 문제점이 발견돼 이를 방지하고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 위탁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체육시설 내부를 들여다보면 대구시의 주장과는 상반된 점들이 보여 위탁 대상 선정의 명확한 기준을 알기 어렵다.
지난해 지도자 자격증 관련 갑질로 잡음이 일었던 만촌자전거경기장은 현재까지 공공 위탁 전환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 만촌인라인롤러스케이트장도 최근 운영 방식을 변경하면서 일부 강사진과 마찰이 있지만, 공공 위탁 대상에서 제외된 상태다. 공공 위탁 예정이었던 연경체육공원 인공암벽장은 저조한 시설 이용을 이유로 민간에 재위탁(1년)됐다.
반면, 3년마다 평가받는 운영 성과에서 상위권을 유지해온 두류테니스장과 편법 운영 논란이 있었지만 올해 최고 등급을 받으며 큰 개선을 이뤄낸 대구스쿼시장은 연말까지 운영권을 모두 반납해야 하는 신세다.
대구시의회에서도 "대구시가 공공 위탁으로 전환하려는 시설들을 보면 대상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구시는 민간단체들과 꾸준히 소통해왔기에 공공 위탁에 대한 반대 의견이 거의 없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민간 위탁단체들은 위탁을 받아야 하는 '을'의 입장이다 보니 미주알고주알 항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올해 연말 회원종목단체장 선거가 코앞이라는 점도 위탁 기관들에는 악재다. 위탁기관 대부분이 관련 종목의 지역 연맹이나 단체인 경우가 많다. 출마를 고려 중인 자들은 표심을 얻기 위해 직면한 현안을 애써 외면하는 분위기다.
민간 위탁기관의 한 관계자는 "12월 선거가 끝나면 내년부터 곧바로 공공 위탁이 시작될 텐데 누구도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며 "체육시설이 모두 공공 위탁되는 것은 지역 생활체육의 퇴행이라는 큰 문제를 야기한다"고 하소연했다.
체육계는 그동안 엘리트 체육 중심에서 생활체육이 공존하는 사회 만들기에 노력해 왔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에서 함께 땀 흘리는 스포츠 활동이야말로 생활체육 활성화의 시작점이 될 것이다. 이번 대구시의 체육시설 공공 위탁 전환이 명확한 잣대에서 이뤄져 시민의 건강한 체육 활동에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종윤기자〈사회부〉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