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일 경북도청에서 '경북도 낙후지역발전 기본계획(2026~2030) 2차 수립'을 위한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가 낙후지역 발전을 위해 2026년부터 5년간 3천억원을 투입한다.
경북도는 5일 도청에서 도내 낙후지역(성장촉진지역) 15개 시·군 공무원과 용역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도 낙후지역발전 기본계획(2026~2030) 2차 수립'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경북도 낙후지역발전 기본계획은 장기적·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지역경제가 침체하고 있는 낙후 지역(문경·상주·안동·영주·고령·봉화·성주·영덕·영양·울릉·울진·의성·청도·청송)을 대상으로 지역 여건과 특화된 지역 특성과 잠재력을 반영한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균형발전과 낙후도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저출생 극복, 신혼부부·청년층 주거거점 마련, 수도권 은퇴자 정착 유도 등 새로운 발전 전략과 신규 사업유형도 제시됐다.
특히 도는 지역소멸 문제를 탈피하기 위해 생활 인구 증대와 정주 여건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저출생 극복신·혼부부 청년 주거거점 마련 등 복지분야 △개발필수 기반시설 조성 및 활력거점 육성분야 △농림·수산분야 △역사·문화·관광분야 △산업·경제분야 등 5대 신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또 기존 시설 확충 사업 같은 하드웨어 체계에 역량 강화, 운영·관리 등 소프트웨어 체계를 더한 지원 정책을 제시했다.
도는 오는 12월까지 관련한 시·군 사업 신청을 받아 전문가 자문과 검토, 관련기관 협의 등을 거쳐 내년 9월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2026년부터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낙후지역발전 2차 기본계획은 시작부터 기존의 틀을 과감히 깨고 저출생 극복, 신혼부부 청년 주거거점 마련 등 현시대에 맞는 지원 체계와 수립 방향을 제시했다"며 "낙후지역 발전을 위해 정부 지역개발사업과 공모사업 등과 모두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