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민선 8기 초기 '어공'(어쩌다 공무원)으로 대구시청에 입성한 한 인사가 올해 초 '팀장급 임기제 공무원'으로 채용된 사안이 국민권익위원회 채용비리통합신고센터에 신고(영남일보 5월 9일자 6면 등 보도)된 가운데, 시민단체가 권익위와 대구시 측의 적극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경실련은 8일 성명을 내고 "전임 대구시장이 고백한 대구시의 채용비리를 권익위 채용비리통합신고센터에 신고한 후 거의 3개월이 지났지만 이 신고에 대한 권익위의 태도는 지나칠 정도로 소극적"이라며 "이 채용비리는 인사권자가 직접 고백한 채용비리라는 점에서 관련 신고에 대한 권익위의 이러한 태도는 상식적인 기준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채용비리 신고에 대한 권익위의 이러한 태도 때문인지 채용비리 당사자인 대구시는 이 사안에 대해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대구경실련이 이를 채용비리로 규정하고, 권익위 채용비리통합신고 센터에 신고한 것에도 침묵했다. 이러한 일이 있을 때마다 대구경실련을 '근거없이 시비걸고 무고하는 단체'라고 비난, 엄중 대응을 공언하며 고발까지 했던 대구시가 이 채용비리 사안에는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또 "전임 대구시장이 공공연하게 고백한 채용비리를 방관하는 것은 대구시의회도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대구경실련은 "우리가 신고한 이유는 누구든 이에 대한 법률적, 행정적 책임을 묻지 않으면 이 채용비리는 점령군처럼 대구시정을 운영한 전임 대구시장과 그의 시장 재직 시 수혜자들의 의리, 특별한 취업이야기로 포장될 수도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지방자치단체장이 특정인을 내정한 상태에서 공개 채용 절차를 진행해 채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닌 채용비리라는 것을 명백히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대구경실련은 "채용비리 신고에 대한 권익위의 소극적인 태도와 채용비리에 대한 대구시의 안이한 태도를 크게 우려한다"라며 "최대한 빠른 시간에 이 사안에 대한 납득할만한 조치를 실행할 것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구경실련은 대구시 임기제 팀장급 공무원 A씨 채용 의혹의 진상과 책임을 규명해달라며 지난 4월 권익위 채용비리통합신고센터에 신고했다.
A씨는 2022년 민선 8기 대구시장직 인수위원회에서 활동하다 그해 4급 상당 간부로 대구시에 입성했다. 이후 대구시는 지난 1월 '지방임기제공무원 임용시험' 공고를 냈고, 다른 경쟁자들을 제치고 A씨가 5급 상당 팀장에 뽑혔다.
이에 지역사회 일각에선 이미 A씨 채용이 내정됐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대구시는 "A씨 채용 절차는 규정대로 진행이 됐다"는 입장이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