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대구시 북구 노곡동 관문동행정복지센터 노곡분소에 설치된 '침수피해 사고조사위원회' 입구 모습.
지난 17일 대구시 북구 노곡동에서 발생한 침수 사고와 관련해 피해 접수 및 사고 조사가 본격화됐다.
대구시는 22일 관문동행정복지센터 노곡분소 2층에 '노곡동 침수피해 접수창구'와 '침수피해 사고조사위원회'를 나란히 개소했다.
침수피해 접수창구에서는 주민들의 피해 조사를 돕고, 일상생활 회복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민간 전문가와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사고조사위원회에서는 사고 원인 조사 및 분석, 배수시설의 기계적 결함 여부 확인, 개선 대책 제안 등을 하게 된다.
조사위원들은 이날부터 본격 사고 조사에 돌입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당시 제진기 미작동 원인을 비롯해 배수 시스템 정상 가동 여부, 각 기관의 매뉴얼 준수 여부 등이 중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지난 21일 "향후 이런 피해(노곡동 침수)가 재발되지 않도록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적 조사단을 꾸려 사고원인과 재발방지 대책을 조속히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정치권에서도 15년 전과 같은 인재(人災)가 반복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의 목소리와 함께 보다 근본적인 재발 방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승수 국회의원(대구 북구을)은 이날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노곡동에서 15년 전과 유사한 침수 사고가 재발하면서, 주민들의 트라우마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동네에서는 제진기 등 배수시설 전반에 대한 불신의 목소리가 나올 정도"라며 "이제 '최악의 호우'도 대비해야 한다. 시설 및 배수 체계 재정비와 함께 보다 항구적이고 근본적인 재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재발을 막을 수 있도록 정부, 지자체에 대책 마련을 적극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22일 대구시 북구 노곡동 침수 피해 지역에서 방역소독이 이뤄지고 있다.
한편, 지난 17일 북구 노곡동이 침수되면서 주민 26명이 긴급 대피하고, 주택과 상가, 차량이 물에 잠기는 피해가 발생했다. 침수 당시 제진기가 제대로 가동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노곡동 배수 시스템 전반에 문제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침수 사고 발생 일주일이 다 돼 가지만 노곡동은 여전히 일상 회복을 하지 못한 모습이다. 침수 사고 당시 물에 잠겼던 가구와 가전제품 등이 동네 곳곳에 쌓여 있으며, 방역소독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