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지난달 30일 경북대병원 대강당에서 '지역 응급의료네트워크 요양병원 사업설명회'를 열고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고령 환자의 불필요한 전원을 최소화 하고자 '지역 응급의료네트워크' 사업 대상을 요양병원으로 확대한다. 급성기 병원 중심으로 짜여 있던 응급의료체계에 요양병원을 연결함으로써 환자 치료의 연속성을 높이고, 의료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환자 안전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시는 최근 요양병원 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이 크게 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요양병원에서 치료 중이던 고령 환자가 갑작스러운 증상 악화로 응급실을 찾았다가, 다시 원래 요양병원으로 회송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선 의료진은 "이 과정에서 환자가 불필요하게 두 차례 이상 이동하고,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며 문제를 지적한다.
특히 요양병원은 급성기 치료보다는 장기 요양에 초점을 맞춘 시설이다 보니, 응급 상황 발생 시 병원 간 의사소통 부족으로 환자 전원을 거부하거나 전원 후 재전원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환자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의료자원의 낭비로 이어진다.
시는 이 같은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응급의료네트워크를 요양병원까지 확장했다. 이번 사업은 6개 센터급 응급의료기관(중심병원)과 57개 2차 병원이 참여하는 기존 협력망에 요양병원을 포함해, 환자 상태에 맞는 맞춤형 전원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선 요양병원의 진료역량을 체계적으로 조사한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환자 증상별 전원 기준을 세워, 무조건 대형병원으로 보내는 관행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시는 지난달 30일 경북대병원 대강당에서 '지역 응급의료네트워크사업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관내 46개 요양병원 관계자 63명이 참석했다. 설명회에서는 문성배 대구시 응급의료지원단 사무차장이 사업 운영 절차와 효과, 참여 방법을 안내했으며, 김윤주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 부단장이 요양병원 장기 입원환자의 감염관리 중요성에 대해 강의했다.
시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요양병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요양병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만 전원 체계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환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구시의 조치를 고령화 시대 응급의료 패러다임 전환의 일환으로 본다. 그동안 응급의료는 급성기 병원 중심으로 짜여 있었지만, 고령 환자가 급증하면서 요양병원 환자의 응급의료 접근성과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대구지역 보건정책 전문가 A씨는 "요양병원 환자는 기저질환이 많아 응급 상황에 취약하지만, 적절한 전원체계가 없으면 방치되기 쉽다"며 "이번 사업은 요양병원을 응급의료 네트워크에 편입해 시스템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시는 사업이 정착되면 환자 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의료비와 자원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병원 간 소통 강화로 환자 이송 거부 사례를 예방하고, 환자가 적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전망이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고령 환자가 늘어나는 만큼 응급의료체계의 '환자 중심 전환'이 필요하다"며 "대구시는 응급의료 네트워크를 더욱 촘촘히 구축해 의료기관 간 신뢰를 높이고,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