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사용 줄여도 요금은 폭증…대구 도시철도 5년새 전기요금 130억원 증가

  • 박영민
  • |
  • 입력 2025-08-02 10:19  |  발행일 2025-08-02
전력사용량 1.8% 줄었지만, 요금은 46.5% 증가
전력단가 49.1% 인상 영향
15개 철도기관 ‘철도전용요금제’ 신설 촉구
대구도시철도 3호선이 운행 중인 모습. 영남일보DB

대구도시철도 3호선이 운행 중인 모습. 영남일보DB

대구도시철도의 전력사용량은 5년새 줄었지만, 전기요금은 오히려 130억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력단가가 약 50% 수준으로 오른 탓이다.


1일 대구교통공사에 따르면 2020년 도시철도 1·2·3호선의 총 전력사용량은 2억1천300만㎾h였다. 2024년에는 2억927만㎾h로 5년새 약 1.8%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전기요금은 280억2천여만원에서 410억5천여만원으로 46.5%(130억3천만원)나 증가했다.


이는 전력단가가 ㎾h당 131.6원→196.2원으로 무려 49.1% 인상된 데 따른 결과다. 사용량이 줄었지만, 단가 급등으로 인해 전체 요금도 큰 폭으로 증가한 것.


전기요금 인상에는 구조적인 배경이 있다. 2021년부터 '원가연동형 요금제'가 시행됐는데, 이는 연료비 변동을 전기요금에 자동 반영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국제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 도시철도 운영기관도 직접 영향을 받게 됐다.


여기에 도시철도에 일반 기업과 동일한 '산업용 전력' 요금체계가 적용된 것이 전기요금에 영향을 줬다. 한전은 피크시간대 전력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계절별·시간대별로 단가를 차등 부과한다. 하지만, 도시철도는 대중교통 성격상 시간과 계절에 따른 탄력적인 전력 사용 조절이 어려워 직격탄을 맞게 된 것.


이에 대구교통공사를 비롯한 전국 15개 철도운영기관은 지난해 9월 한전에 '철도전용 요금제' 신설을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을 제출했다. 교육기관처럼 공공성을 반영한 별도의 요금체계가 필요하다는 것.


전기요금 상승은 지자체의 재정 부담으로 이어진다. 대구교통공사가 운영손실금 명목으로 대구시로부터 지원받는 금액은 2019년 1천686억원에서 2023년 2천191억원으로 증가했다. 향후 도시철도 4호선 등 신규 노선이 개통되면 전기요금 문제는 더 심화할 공산이 크다.


대구교통공사는 구조적인 개편을 위해 다른 철도기관과 협력하는 한편, 전기 사용 효율화를 지속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공사는 TF팀을 꾸려 △역사 냉방기 중복가동 시간 최소화 △공조기 가동 기준 법적 기준치 이내 관리 △전동차 기동 출고 직전기동으로 제도 개선 △공조기 주파수 60㎐→57㎐ 조정 △에스컬레이터 가동 대기시간 단축 등 14가지 절전시책을 시행해왔다.


대구교통공사는 측은 "앞으로도 절전시책을 발굴해 전력사용량을 줄여나갈 방침"이라며 "지속가능한 도시철도를 위해 다른 철도기관들과 전기요금과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에 대해 꾸준히 건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기자 이미지

박영민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