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노곡동 침수 피해 주민들…“이제는 행정이 책임질 때”

  • 박영민
  • |
  • 입력 2025-08-04 21:13  |  발행일 2025-08-04
제진기, 수문 개방 등 원인 지적한 조사 결과 발표
주민들 “제진기 재점검 등 재발방지책 마련해야”
북구청 “전문가 자문 통한 매뉴얼 변경 검토할 것”
4일 오전 11시쯤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현장의 한 상가에는 '침수로 영업을 중단했다'는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박영민 기자.

4일 오전 11시쯤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현장의 한 상가에는 '침수로 영업을 중단했다'는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박영민 기자.

4일 오전 11시쯤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피해 현장에는 침수 피해를 입은 물품들이 거리에 쌓여져 있었다. 박영민 기자.

4일 오전 11시쯤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피해 현장에는 침수 피해를 입은 물품들이 거리에 쌓여져 있었다. 박영민 기자.

4일 오전 11시쯤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피해 현장에는 침수 피해를 입은 물품들이 거리에 쌓여져 있었다. 박영민 기자.

4일 오전 11시쯤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피해 현장에는 침수 피해를 입은 물품들이 거리에 쌓여져 있었다. 박영민 기자.

4일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사고에 대한 민간조사단의 원인 분석 결과가 발표되자, 피해 주민들은 "이제는 행정을 통해 책임져야 할 때"라며 신속한 복구와 재발방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오전 11시쯤 찾은 노곡동 피해 현장. 침수 발생 17일이 지났지만, 거리 곳곳엔 여전히 수해 흔적이 남아 있었다. 일부 상가는 '침수 피해로 영업 중단' 안내문을 내걸고 문을 닫았다. 길가에는 냉장고와 서랍 등이 그대로 쌓여 있었다.


한 주민은 취재진에 "이번 침수로 15년 동안 세 번째 피해를 입은 이들도 있다. 법도 여러 번 어기면 처벌이 강화되는데, 행정은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반복하고 있다"며 "배수시설은 침수를 막으라고 있는 것 아닌가. 기본적인 기능조차 무너진 만큼, 행정당국이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책임 있는 복구와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조사 결과를 접한 주민들은 재발방지 대책 수립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용태(67)씨는 "수문 문제는 제대로 점검만 한다면 해결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진기 문제는 훨씬 심각하다"며 "폭우가 오면 산지에서 길이 4~5m짜리 부유물이 내려오는데, 제진기 폭은 2m에 불과해 애초에 감당이 불가능한 구조다. 조사 결과에도 지적된 만큼, 구조적인 보수작업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속한 보상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김복희 노곡동침수피해대책위원회 총무는 "조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 가장 중요한 사실은 주민들은 아무 잘못이 없다는 점"이라며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합리적인 보상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조사단이 지적한 '고지배수로 운영 매뉴얼'에 대해 대구 북구청은 매뉴얼 개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는 금호강 수위에 따라 수문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지만 향후엔 다양한 위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하겠다는 것.


북구청 측은 "고지배수로 개폐 여부가 침수의 직접 원인은 아니었지만, 제진기 등 다른 배수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문제가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전문가 자문을 받아 매뉴얼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박영민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