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서구청 전경. 영남일보DB

치매안심마을인 '기억청춘아파트' 홍보 현수막. 달서구청 재공
대구 달서구에 치매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복지 공동체 공간이 마련돼 눈길을 끌고 있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아파트 2곳을 일종의 '치매 안심 마을'인 기억청춘아파트로 지정한 것.
24일 달서구청에 확인 결과, 최근 영구임대아파트인 월성주공2단지와 성서주공 3단지 등 2곳이 '기억청춘아파트' 시범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시범사업 기간은 올해 연말까지다. 운영 성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기억청춘아파트'는 지역 내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민·관이 협력해 치매 안전망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앞서 달서구청은 지역 영구임대아파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치매 프로그램을 진행한 바 있다. 이곳에 치매 위험군 대상자가 많아서다. 경도 인지 장애 노인에 대한 조기 선별검사와 인지 강화 검사 등이 진행됐다. '치매파트너' 교육을 수료한 이들을 중심으로 '치매 파트너스'를 구성, 치매 인식 개선 캠페인도 지속적으로 펼쳤다.
당초 이 사업은 '치매 프로그램'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됐다. 주택관리공단 관리소와 동 행정복지센터, 지구대, 복지관, 인근 상가, 통장 등 생활권역 기관 및 단체가 참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달서구청은 이들과 함께 운영위원회를 구성, 연 2회 회의를 열고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키우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달서구청 측은 "치매 안전망 사각지대 발굴과 인식 개선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며 "시범 운영을 통해 다른 영구임대아파트로 사업을 확대할지, 기존 아파트 2곳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할지는 아직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치매 안전망 구축을 위해 민·관이 협력한 달서구 사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대구보건대 강상훈 교수 (사회복지학과)는 "지역을 잘 아는 주민들이 사업 주체가 되는 만큼 치매 노인들의 실질적 안전망 확보에 분명한 효과를 발휘할 것 같다"며 "시범운영을 토대로 더 깊이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경모(대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