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일 봉화군 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교육관에서 열린 '헴프 재배특구 타당성 최종 용역보고회'에서 관계자가 규제자유특구 지정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봉화군 제공>
경북 봉화군이 지방소멸 위기 돌파구로 산업용 헴프(대마) 산업을 선택하며 본격적인 특구 지정 준비에 나섰다.
봉화군 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단은 지난 20일 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교육관에서 '헴프 재배특구 타당성 최종 용역보고회'를 열고 특구 추진 전략과 세부 일정을 논의했다.
추진단은 봉화군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를 '지방소멸'로 규정했다. 농촌 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기존 산업만으로는 생존이 어렵다는 판단 속에서, 산업 구조를 혁신적으로 전환할 신성장 동력으로 헴프 산업을 지목했다.
봉화군은 그간 헴프 규제자유특구 지정 가능성을 다각도로 검토해 왔다. 산업적 활용 가치, 법적·기술적 기반, 농업 유산과의 연계성을 조사하며 정책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이어왔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헴프 재배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규제 개선 필요성, 특구 지정 시 기대되는 투자·일자리 효과 등이 공유됐다. 특히 "지역 친환경 농업 기반과 봉화의 청정 자연환경이 헴프 산업화에 최적화돼 있다"는 분석이 제시돼 눈길을 끌었다.
박현국 봉화군수는 "지방소멸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려면 선제적인 정책과 도전이 필요하다"며 "헴프 산업은 봉화의 자연환경과 기술력, 농업 유산과 어우러져 미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반드시 성사시켜 지역경제 체질을 바꾸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봉화군의 헴프특구 추진은 지역 농업 기반 위에서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을 키우려는 실험적 시도로, 지방소멸 극복 전략이자 산업 전환의 시험대가 되고 있다.

황준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