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소 화백, 고향 대구서 예술혼 궤적 선보인다

  • 임훈
  • |
  • 입력 2025-09-09 22:54  |  발행일 2025-09-09
예술의 근원, 고향 대구로 귀환한 이강소 화백
한국 실험미술사 획 그은 작업들 눈길
내년 2월22일까지 대구미술관 1전시실 및 어미홀
이강소 청명(淸明)

이강소 '청명(淸明)'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이강소 화백이 자신의 예술적 근원이자 실험의 시작점인 대구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연다.


대구미술관은 9일부터 내년 2월22일까지 1전시실과 어미홀에서 이강소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를 개최, 반세기 넘는 시간 동안 끊임없이 변화와 확장을 거듭해온 그의 예술세계를 심도 깊게 조명한다. 회화, 조각, 판화, 드로잉, 아카이브 등 130여 점이 망라된 이번 전시는 2011년 대구미술관 개관 특별전 이후 14년 만에 고향 땅을 밟는 작가의 귀환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전시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는 동양의 풍류에서 비롯된 '곡수지유'와 그의 예술적 원동력인 '실험정신'이다. 흐르는 물의 질서 속에서 자연을 사유하고 예술을 탐구해온 작가의 태도는 평생의 예술관과 맞닿아 있다. 특히 작가의 실험이 태동한 낙동강변은 그에게 새로운 미술을 향한 열망을 품게 한 원형적 공간으로 의미를 더한다. 1965년 대학을 졸업한 이래 1969년 신체제(新體制)를 결성하고, 1970년대 AG(한국아방가르드협회), 에꼴드서울 등 현대미술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그의 행보에는 언제나 실험정신이 자리해 있었다.


이강소 바람이 분다

이강소 '바람이 분다'

전시는 최근작에서부터 시작해 1970년대 실험미술과 이후의 예술적 확장을 따라가는 구조로 구성됐다. 최근작인 '청명(淸明)'(2016~) 연작과 '바람이 분다'(2022~) 연작에서는 작가의 새로운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오랫동안 무채색을 고수했던 그는 "색이 나를 유혹했다"는 고백처럼 다채로운 색채를 수용하며 또 다른 예술적 국면을 열었다.


이강소 낙동강 이벤트

이강소 '낙동강 이벤트'

대구미술관에서 이강소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展이 열리고 있다.<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대구미술관에서 이강소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展이 열리고 있다.<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대구미술관에서 이강소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展이 열리고 있다.<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대구미술관에서 이강소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展이 열리고 있다.<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1970년대 한국 실험미술사의 획을 그은 주요 작업들도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1975년 제9회 파리 비엔날레에 출품된 '무제 1975-31'은 살아있는 닭을 전시장 한가운데 묶어두고 그 움직임의 흔적을 작품으로 선언한 파격적인 퍼포먼스다. 예측 불가능한 우연의 요소를 예술로 승화시킨 이 작업은 작가를 국제무대에 알리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비디오 작업 'Painting 78-1'은 회화를 '결과물'이 아닌 '과정'으로 바라보게 하며, 매체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정신을 보여준다.


1980년대 이후의 회화들은 직접적인 서사를 배제한 채 자연의 형세와 물의 흐름 같은 잔상을 남긴다. 그의 작업은 관객의 경험과 시선에 따라 매번 다르게 해석되는 열린 구조를 지닌다. 조각 역시 흙, 불, 바람 등 자연의 기운을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Becoming(되어감)'으로 명명된 그의 조각은 자연과 작가의 육체가 어우러져 탄생한 결과물이다.


대구미술관에서 이강소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展이 열리고 있다.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대구미술관에서 이강소 회고전 '曲水之遊 곡수지유: 실험은 계속된다'展이 열리고 있다.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1전시실 마지막에는 1970년대 작가가 주도한 '신체제', 'AG(한국아방가르드협회)', '에꼴드서울' 등 한국 실험미술 운동의 기록과 대구현대미술제 아카이브를 전시한다. 또한 어미홀에는 작가의 첫 개인전 출품작 '소멸'(1973)을 중심으로 갈대와 브론즈 조각이 어우러진 공간이 마련돼 관람객에게 낙동강변의 정취를 선사한다.


이강소 화백은 "저의 작품은 제 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순간마다 관객과 만나며 새롭게 완성된다"고 말했다. 전시기획을 맡은 이정민 학예연구사는 "반세기 동안 이어진 작가의 실험과 확장의 여정을 폭넓게 선보이는 특별한 자리"라며 이번 전시의 의미를 강조했다.



기자 이미지

임훈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