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만대교 해상노선 조감도. <포항시 제공>
경북 포항시가 추진 중인 영일만대교 해상노선(동해면~흥해읍 구간)이 시민 여론의 지지를 등에 업고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영남일보가 창간 80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포항시민의 절반에 가까운 45.6%가 포항시에서 건의한 '해상노선'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토부 검토 노선(대송~형산강~흥해읍)'은 19.9%, 'KDI 검토 노선(내륙 우회도로 중첩)'은 11.1%에 그쳤다.
이 같은 결과는 포항시가 중앙정부와의 협상에서 강력한 명분을 얻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포항시는 조만간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등을 차례로 방문해 시민 여론조사 결과를 근거로 해상노선의 타당성을 적극 어필할 계획이다.
영일만대교는 2008년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 사업으로 선정되며 첫발을 내디뎠으나 17년이 지난 지금까지 노선조차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현재는 KDI가 국토부 요청에 따라 영일만대교 3개 노선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를 진행 중이다. 검토는 6개월가량 소요될 예정으로 내년 초쯤 노선이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민 여론과 더불어 포항시가 지난달 국토부에 제출한 예산 절감방안도 해상노선 확정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 방안은 포스코가 진행 중인 수소환원제철용지 조성사업의 동측호안을 활용하는 것으로, 해상노선 인공섬 조성 사업비를 기존보다 약 5천300억원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 해상노선의 최대 리스크였던 사업비 과다 부분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시민여론을 적극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민주당 포항지역위원회는 여론 조사 결과를 중앙당 설득 근거로 활용해 해상 노선의 타당성을 어필할 예정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해상노선은 기존 도시기본계획에 부합하고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도 가장 합리적인 대안"이라며 "시민 뜻이 모인 만큼 해상 노선 확정을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전준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TK큐] 장애인 이동권 경계를 허물다, 스웨덴 휠체어 장애인의 하루](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22.9c488fa6cf5240fba9110365d87324a3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