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에 대한 국정감사가 27일 대구시 산격청사에서 열리고 있다. 이지용기자 sajahu@yeongnam.com
27일 오전 진행된 대구시 국정감사는 한마디로 '洪시장 없는 洪시장 국감'이었다. 전임 시장이 추진한 정책·사업들에 대한 질타는 쏟아졌지만 대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여하튼 대구시정에 대한 리셋(Reset)은 불가피해 보인다.
이날 대구시 산격청사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 국정감사에선 대구경북(TK)신공항 건설, 대구 취수원 이전, 대구경북 통합,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사업, 신천 프러포즈존 조성, 임기제 공무원 채용비리 의혹 등이 비중있게 다뤄졌다.
TK신공항 사업과 관련해선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 등이 대구시의 신공항 추진 방향과 관련한 의견을 피력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주 의원은 그간의 TK신공항사업 재원확보와 관련, 기부대 양여 방식 및 공공자금관리기금 융자 방식의 한계를 지적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대통령이 지난 주 대구 타운홀 미팅에서 TK신공항 사업과 관련한 정부 재원 이야기를 했다"며 "빨리 후속대책을 세워 대통령실과 이 문제를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대구 취수원 이전문제는 왔다갔다는 대구시 정책변화과정이 비판을 받았다.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경남 남해)은 "지자체장과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구 취수원 정책이 180도 바뀐다"며 "취수원 문제 해결에 대한 대구시의 의지가 있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국감장에선 대구시의 열악한 재정상황, 공공기관 통폐합 문제도 함께 거론됐다. 하지만 각 사안마다 똑부러진 해결방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빈수레만 요란한 모양새였다.
대구시 국감을 지켜 본 지역 관가 한 관계자는 "국감장에서 여러 대구시정에 대한 점검이 있었지만, 시장이 공석이어서 진상 규명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 같다"고 평가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