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부덕(왼쪽) 대구시간호사회장과 김영실 경상북도 간호사회장이 27일 영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간호사 역할에 대해 설명 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이지용기자 sajahu@yeongnam.com
 
     서부덕(왼쪽) 대구시간호사회장과 김영실 경상북도 간호사회장이 27일 영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간호사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이지용기자 sajahu@yeongnam.com
 
     서부덕(왼쪽) 대구시간호사회장과 김영실 경상북도 간호사회장이 27일 인터뷰를 마친 뒤, 손하트를 하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이지용기자 sajahu@yeongnam.com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은 '살던 곳에서 존엄하고 건강한 삶'을 목표로 하는 지역사회 돌봄 체계 개편의 출발점이다. 서부덕 대구시간호사회장과 김영실 경상북도간호사회장은 "간호사는 단순한 간병인이 아니라 지역사회 돌봄의 설계자이자 조정자, 그리고 '케어 코디네이터'로서 중심축을 맡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두 회장은 이번 시범사업이 지역 돌봄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질병만이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상태를 함께 살피며, 개인별 돌봄 계획을 세워 의료·요양·복지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간호사가 가장 먼저 대상자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가정이나 시설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간호사는 건강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필요할 경우 즉시 의료기관과 연계해 응급 상황을 예방한다.
또한 요양보호사나 가족에게 돌봄 지식과 기술을 교육해 전반적인 돌봄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면서 임종 준비나 연명의료 지원에도 참여할 수 있다"며 "이러한 역할이 쌓여야 비로소 지역사회에서 체감하는 통합돌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두 회장은 통합돌봄이 안착하기 위해서는 인력 기반 확충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명확한 인력 기준과 합당한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공공 간호사 제도를 확대해 지역 근무를 유도하고, 방문간호 등 지역사회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했다.
대구경북의 통합돌봄 준비 상황에 대해서도 현실적인 과제를 짚었다. "대구는 도시형 모델, 경북은 농어촌형 광역 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 많아 방문간호사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2024년 말 기준 방문간호 기관은 대구 42개소, 경북 40개소에 불과하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약 15%가 방문의료·방문간호를 필요로 한다고 보면, 대구는 약 1천개소, 경북은 1천500개소가 필요하다"며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들은 또 간호사가 의료기관, 요양시설, 보건소 등 여러 기관을 잇는 중심축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호사는 의료의 전문성과 보건의 공공성, 방문간호의 현장성을 모두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기관 간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있다"며 "서비스가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도록 중심에서 돌봄 계획을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2026년 3월 시행 예정인 '돌봄통합지원법'과 관련해서도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했다. "방문간호 서비스는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등 재원이 분절돼 있어 이용자 불편이 크다"며 "이용자가 한 기관에서 통합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역통합방문간호 모델'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간호사의 상담·조정·교육 업무에 합당한 수가와 재택 임종간호 보상체계 마련이 시급하며, 현장 간호사의 안전망 강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두 회장은 현장 의견 반영과 교육체계 구축도 과제로 꼽았다. "현재 시범사업 설계나 정책 결정 과정에서 간호사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간호사, 정책결정자, 실무자가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케어매니지먼트, 방문간호 등 재택 돌봄 수행에 필요한 교육과정과 정신건강·다학제 기반 교육 등 통합돌봄 특화 프로그램을 확대해 간호사의 전문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31.6f8bf5a4fea9457483eb7a759d3496d2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