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열린 '2025년 대구시 신년인사회'의 떡 케이크에 '대구경북 통합'이란 문구가 적혀 있다. 노진실 기자
민선 8기 대구시의 역점 정책인 '대구경북행정통합'의 추진 과정 등이 대구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7일 열린 대구시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단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김대현 대구시의원은 "지난해 대구정책연구원이 발표한 대구경북통합의 효과는 혹세무민이었다"라며 "행정통합은 전국적으로 틀을 바꿔야 하는 것이다. 중앙정부에서도 권한 이양이 어려운 여러 문제점이 있는데, 당시 여야가 대치하는 등 현실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어떻게 대구경북 만의 특별법을 통과시킨다는 발상을 할 수 있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시의원은 "어떻게 대구시 정책을 (누군가의) 정치 일정가 맞추나. (대구경북행정통합 정책은) 전임 시장의 대권놀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본다"라고 비판했다.
또 "경북도민들에 대한 좀 더 냉철하고 현실성있는 설득 노력이 필요했다"라며 "개인적으로 봤을때, 대구경북행정통합 정책은 실패했다. 목표는 맞지만 방향이 잘못됐다"라고 진단했다.
대구시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단 측은 "당시 낙관적인 수치를 제시해 질타도 많이 받았지만,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에는 시도민들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통합의 성과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원규 대구시의원은 "5극 3특 정책과 별개로 행정통합은 꾸준히 이어져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와 함께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단 일부 예산이 APEC 지원 사업에 사용된 것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육정미 대구시의원은 "APEC 지원 업무가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단으로 넘어오면서, 행정통합 사무 관련 예산을 APEC 지원 업무에 사용했다"라며 예산 집행의 적절성 여부를 따져 물었다.
류종우 대구시의원도 비슷한 맥락의 질문을 던졌다.
이에 대해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단 관계자는 "통합은 큰 틀에 있고, 그 밑에 협력이 있다고 생각해서 (APEC 관련 업무에) 예산을 집행한 것"이라며 "최근 대구경북 통합이 주춤한 상태였고, 대구경북 협력이 주요 과제가 됐다. 이에 APEC 지원을 한 것이고, 이제 경북과 함께 포스트 APEC 협력을 준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21일, 당시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행정안전부장관, 지방시대위원장은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공동 합의문에 서명했다.
2026년 7월 대구경북 통합 지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내걸었고, 대구시도 역점 정책으로 대구경북행정통합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지역간 불협화음이 지속되고 탄핵정국까지 겹치면서 통합은 속도를 내지 못했다. 내년도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은 사실상 물건너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구시는 조직개편을 통해 대구경북행정통합추진단을 폐지하고, 5극 3특 정책에 맞춘 조직을 신설할 예정이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 월정교 위 수놓은 한복의 향연··· 신라 왕복부터 AI 한복까지](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10/news-m.v1.20251031.6f8bf5a4fea9457483eb7a759d3496d2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