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아태이론물리센터에서 열린 'AI 국제센터 유치 전략 정책 간담회' 참석자들이 센터를 유치를 위한 대응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포항시 제공>
경북 포항시가 APEC AI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아시아·태평양 AI 센터(Asia-Pacific AI Center)' 유치를 공식화 했다. 지난달 초 삼성전자·오픈AI의 공동 데이터센터를 유치한 바 있는 포항은 이번 도전을 바탕으로 국제적인 AI 연구 협력 중심지로 발돋움한다는 복안이다.
포항시는 17일 아태이론물리센터에서 주요 연구기관장들과 정책 간담회를 열고 AI 국제센터 유치 전략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사사키 미사오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소장, 박재훈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 연구소장, 박수진 포스텍 연구처장, 유환조 인공지능연구원 부원장 등 국내외 핵심 연구기관 책임자들이 참석했다.
포항은 그동안 두 개의 굵직한 글로벌 연구기관을 유치해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지난 1996년 필리핀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설립된 아태이론물리센터는 국내 유일 국제이론물리센터로 19개 회원국과 연구교류망을 구축하고 300명 이상의 젊은 연구자 연수를 지원해 왔다. 또 2011년 설립된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 연구소는 세계적인 막스플랑크연구재단의 권위에 걸맞게 양자물질 등 첨단 기초과학 분야에서 국제 수준의 공동 연구를 이어가며 국내 연구자의 글로벌 성장 기반을 견고히 했다.
포항은 방사광가속기·나노융합기술원·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등 세계적 연구시설과 포스텍·한동대를 중심으로 한 우수 연구 인재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AI 산업 육성에 필요한 기초·응용 연구 환경과 연산 인프라를 동시에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전국 1위 수준의 전력 자립률(200% 이상)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전력망을 갖춘 점도 AI 데이터센터와 고성능 컴퓨팅(HPC) 인프라 구축에 유리한 조건이라는 평가다. AI 융합을 적용할 실증 생태계로 철강·2차전지·수소·바이오 등의 산업이 이미 자리를 잡고 있다는 것 역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시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추진위원회 구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수립, 비전 선포 등 단계별 로드맵을 신속히 가동해 유치전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AI 기반 과학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전준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