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싱크탱크인 <재>대구경북연구원(이하 대경연)이 개원한지 31년만에 분리 수순을 밟게 됐다.
지난달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제안한 대구경북연구원 분리를 홍준표 대구시장이 13일 전격 수용하면서 가시화됐다.
이날 대구시에 따르면 대경연을 해산한 후 가칭 대구정책 연구원(가칭)을 설립하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대구시 측은 "2016년 3월 경북도청이 안동시로 이전하면서 각기 다른 시각의 연구를 다루기에는 한계에 이르렀다. 이젠 대경연이 분리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맞이했다"면서 "대경연이 분리되면 대구시 정책 방향에 맞게 전문화되고 특화된 연구원으로 새롭게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시는 이달 중 분리관련 수순을 밟을 예정이다. 연구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경연 해산과 대구정책연구원 설립을 거의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시기상으로 보면 대구정책연구원을 먼저 설립하고 이후 대경연 해산절차로 이어질 것으로 점쳐진다.
해산은 경북도가 먼저 제안한 만큼 재단법인 이사회 통과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법인 해산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이달부터 시·도 실무협의회를 통해 계속 논의할 계획이다. 다만 대구정책연구원 설립과 관련해선 행정안전부와의 협의(허가)가 필요하다.
대구시는 통상 지자체 출자출연기관 설립에는 1년정도 걸리지만 이번 경우에는 최대한 그 일정을 앞당겨 보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달 25일 도의회 본회의에서 대구에 소재(남구 계명대 대명캠퍼스내)한 대경연을 분리해 '경북연구원(가칭)'을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경북지역의 원자력, 해양, 농업 등 도 주력산업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를 위해선 스스로 갈길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경북도는 올 연말까지 경북연구원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대경연 해산이 확정되면 재단운영 기금(110억원)과 청사건립기금(52억원)을 출연비율에 맞게 양 시도에 배분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경연은 대구시와 경북도가 각각 43억원씩을 출연해 1991년 6월 개원했다. 현재 대경연에는 원장, 연구직 57명, 관리직 12명, 전문직 9명 등 총 79명이 근무하고 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