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령총 금관.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 |
금령총의 금령(금방울). 국립경주박물관 |
![]() |
금령총의 금 허리띠.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특별전은 22일부터 내년 3월 5일까지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에서 열린다.
금령총은 6세기 초반에 조성한 어린아이의 무덤으로 추정한다. 금관이 출토된 능묘 중 가장 작은 무덤으로 허리춤에서 금령이 출토돼 ‘금령총’이라 불린다.
금령총은 일제강점기인 1924년 5월, 22일 만에 발굴조사를 끝내고 당시로는 드물게 발굴보고서를 발간해 신라 적석목곽묘(돌무지덧널무덤)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금령총을 새롭게 조망하고자 2018~2020년 3년에 걸쳐 발굴을 진행했다.
호석 밖에서 출토된 제기(제사에 쓰는 그릇)와 공헌물, 이를 담은 큰 항아리 등을 분석해 당시 제사의 모습도 복원하는 등 발굴조사 결과를 총정리해 이번 특별전을 마련했다.
![]() |
금령총의 금반지.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 |
금령총의 금 귀걸이. |
특별전은 금관, 금 허리띠, 금반지, 금 가슴걸이, 금방울, 기마인물형토기 등 300여 점의 유물을 선보인다.
금령총에서 발굴된 금관은 높이 27㎝·지름 15㎝로, 다른 금관에서 볼 수 있는 옥 장식이 없고, 신라 금관 가운데 가장 작고 장식이 단순하고, 꾸밈장식의 크기도 작은 편이다.
1924년 금령총을 처음 발굴했을 때 열차 1칸을 가득 채울 만큼 많은 유물이 발견됐다. 1부 ‘1924년 금령총, 세상에 드러나다’는 유리잔, 종 모양 말방울, 둥근 말방울 등의 발굴 유물을 엄선해 보여준다.
이어 2부 ‘내세로의 여정을 같이하다’에는 무덤 주인이 누워 있던 관과 껴묻거리(부장품) 상자를 주목한다.
보물로 지정된 금관, 금팔찌, 금 허리띠, 금반지 등 출토품의 크기와 이들이 놓인 간격을 고려하면 금령총의 주인은 키가 1m 안팎인 어린아이였으리라 추정된다.
각각 두 점씩 쌍으로 나온 토기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국보이자 신라 토기 가운데 백미로 꼽히는 기마인물형 토기는 흔히 주인상과 하인상으로 알려져 있다.
![]() |
금령총의 금 가슴걸이. |
![]() |
금령총의 기마인물형 토기.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배 모양 그릇과 등잔 모양 그릇 역시 망자의 여정을 함께하는 껴묻거리로 추정된다.
박물관은 “배 모양 그릇은 저승에서 만날 물길을 무사히 건넜으면 하는 마음, 등잔 모양 그릇은 어두운 공간에서 발을 헛디뎌 넘어지지나 않을까 하는 부모의 걱정이 스며든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동 장식으로 꾸민 천마(天馬) 말다래 장식, 2019년 무덤 둘레에 쌓는 돌인 호석(護石) 바깥쪽에서 나온 높이가 56㎝에 이르는 말 모양 토기 등이 관람객의 시선을 끌 법하다.
말 모양 토기는 현존하는 출토품 중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발굴 조사를 통해 역사의 퍼즐을 맞춘 부분 역시 특히 눈여겨볼 만하다.
박물관은 재발굴 조사를 하면서 긴 목 항아리의 굽다리 파편 2점을 확인했는데 이 가운데 1점은 1924년 조사했던 껴묻거리용 상자 주변에서, 다른 1점은 호석 주변에서 각각 발견했다.
박물관 관계자는 1924년에 발굴한 몸통과 2019년, 2020년에 발굴한 파편을 언급하며 “재발굴이 아니었다면 영원히 모르고 지나쳤을 것으로 재발굴이 가져온 1천500년 만의 만남"이라고 말했다.
함순섭 국립경주박물관장은 “황남대총·천마총·금령총과 같은 능묘 특별전을 지속해서 선보여 그 연구 성과를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무덤 안팎에서 출토된 다양한 껴묻거리와 제사의 흔적 속에 담긴 의미, 갑자기 가족의 품을 떠나버린 어린 영혼에 대한 슬픔과 염려를 헤아려 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경주박물관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딸랑딸랑 금령총 이야기'도 어린이박물관에서 22일 개막해 내년 4월 16일까지 전시한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