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경모기자(서울본부) |
새마을운동이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의 사회안전망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와 세계 경제 침체의 장기화 등으로 국가 재정에 의존한 사회안전망의 한계도 드러났다.
여기에다 노령화·인구감소로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가계부채는 물론 국가재정마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국가에 의지하지 않고 자립과 자조적 복지를 강조한 새마을 운동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새마을운동의 본질을 '국가재테크'라고 본다. 국가재테크를 사전적으로 정의한다면 '주권에 의한 통치 조직이 돈이나 재물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나 수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새마을운동의 성격에 비춰 설명해 본다면 자신과 지역사회가 더불어 살 수 있는 방법론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한국형 국가재테크의 보다 상세한 정의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말에서 유추할 수 있다.
박 전 대통령은 "우리 스스로가 우리 마을을 우리 손으로 가꾸어 나간다는 자조·자립 정신으로 땀 흘려 일한다면 모든 마을이 잘살고 아담한 마을로 그 모습이 바뀌리라 확신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새마을운동의 정신은 외국 기업에서도 찾을 수 있다. 프랑스의 거대 식품기업 '다논(Danone)'은 2006년 방글라데시의 시골 마을 보그라에 저렴한 가격으로 요구르트를 공급했다. 나아가 현지 여성을 채용해 제품을 현지 주민에게 판매하는 등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며 현지에 수백 개에 달하는 가축농장이 들어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들 기업은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모델을 만드는 것은 물론 지역사회의 신뢰를 얻으며 브랜드 가치도 높였다. 저개발 지역의 향후 발전 잠재력까지 감안한다면 수익성 높은 시장을 선점한 셈이다. 따라서 새마을운동의 정신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할 것이다. 특히 IMF 이후 모든 구성원이 경제적 위험과 불안한 미래에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새마을운동의 공생 정신이 더욱 절실해졌다.
이를 위해선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의 경험을 다시 한번 상기해야 한다. 1987년 이후 축적된 거대 도시 자본을 농촌으로 이동시켜, 과거 새마을운동처럼 도시와 농촌을 함께 발전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귀농·귀촌한 도시민의 기술·지식·경험 등과 마케팅·경영·회계 능력을 농업과 연계해야 한다. 1990년부터 침체기를 겪은 이후 한 번도 도시보다 잘살아 보지 못한 농촌의 미래를 바꿔야 한다.
구경모기자〈서울본부〉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