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일 오전10시30분 대구 달서구청 충무관에서 대구시 신청사 바로세우기 대책회의가 열렸다. 개회 전 참석 구의원들이 주최측과 이견을 보이며 퇴장해 자리가 빈 모습. |
![]() |
개회 전 주최측과의 이견으로 자리에서 일어나고 있는 달서구의원들. |
![]() |
토론회장을 빠져나가는 달서구의원들. |
건립 논의가 중단된 대구시 신청사 이전을 위한 대책 마련을 위한 회의가 15일 달서구청에서 열렸다. 하지만 마땅한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일부 달서구의원과 시민단체 간 뚜렷한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반쪽'회의로 전락했다.
이날 오전 시청사바로세우기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가 주최한 토론회. 이날 토론회는 시작과 동시에 꼬였다. 개회 전 일부 달서구의원들이 행사의 공식 취지와 게첨된 현수막 문구에 반발해 집단 퇴장했기 때문. 시민연대가 게시한 현수막은 '대구시민 동의 없는 신청사 부지 매각, 결사반대'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시민연대는 대구시가 신청사 이전을 추진했던 2018년의 원안대로 조속히 이를 추진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일부 달서구의원들의 신청사 이전 부지 일부를 매각해 재정을 마련해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자는 입장으로 서로 간 입장 차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박정환 달서구의회 운영위원장은 "취지에 대해 사전에 설명을 전혀 듣지 못했다. 주민의 여러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날 토론회에 참석했는데, 일방적 주장만 되풀이 하고 있어 토론회에 임할 수 없다"며 회의장을 빠져나갔다.
일부 구의원들의 집단 퇴장에 참석 주민들은 고성을 지르며 반발했다. 정판규 성서지역발전위원장은 "신청사 유치를 지켜내는 데에 구의원과 구민 간 무슨 이견이 있겠나. 다른 정치적인 방법을 통해 이를 해결하자"고 의회를 비판했다.
동료의원들이 퇴장한 뒤에도 토론회장에 홀로 남아있던 김정희 구의원(더불어민주당)은 "동료 의원들이 자리를 떠나서 드릴 말씀이 없고 죄송하다. 제가 남아있게 된 것은 신청사를 원안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열망으로 주민의 뜻을 듣기 위해서다"고 했다. 이날 토론회엔 달서구의원 24명 중 20명이 참석했다. 이 가운데, 김 구의원을 제외한 19명이 토론회가 시작하기도 전에 현장을 떠났다.
구의원들의 퇴장 후 토론회장은 구의회를 성토하는 장으로 변했다. 김병남(달서구)씨는 "(일방적 퇴장과 같은) 구의원들의 행동은 풀뿌리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주민소환제도 검토해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시민연대는 토론회 이후 달서구청 앞뜰에서 "홍준표 대구시장은 두류공원과 연계한 신청사 부지 전체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시민과 소통하라"며 '신청사 건립 촉구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토론회가 파행으로 이어진 배경은 대구시가 지난해 9월 발표한 신청사 부지 일부 매각 관련 계획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시 대구시는 코로나19 대응 예산으로 청사건립기금(1천765억원)을 사용해 남은 예산이 397억원에 불과해 일부 부지를 매각하고 청산 건립 및 채무 상환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후 대구시의회가 신청사 설계 공모예산(130억4천만원)을 삭감하자, 홍 시장은 신청사 건립부서의 잠정 폐쇄를 선언한 바 있다.
달서구는 대구시의 신청사 건립 중단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하지만 별개로 신청사 관련 사업을 계속해서 추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글·사진=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