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점심시간 휴무제' 논란…구청장·군수 협의회서 종지부 찍을까?

  • 이동현
  • |
  • 입력 2023-02-21  |  수정 2023-02-21 08:22  |  발행일 2023-02-21 제6면
지난해 말 전공노, 홍준표 대구시장과 설전

전공노 측 "4월 본격 시행 위한 제반사항 준비 논의돼야"

구청장·군수 협의회 "자세한 사항 논의 거쳐야"
2022120501000134500005221
지난해 12월 1일 공무원노조가 대구지역 대구시내 곳곳에 내건 '내년부터 대구 8개 구·군청에서 점심시간엔 근무하지 않는다' 내용의 현수막. 영남일보 DB

'점심시간 휴무제'에 대해 대구 공직사회의 반응이 뜨겁다. 21일 열릴 대구시 구청장·군수 협의회 회의에서도 관련 논의가 예고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무원 점심시간 휴무제는 정오부터 오후 1시까지 민원인을 상대하는 공무원의 점심시간과 휴식의 권리를 보장하고 민원인에게 더 나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경기·전남 등 일부 지자체 민원실에서 도입 중이다.

점심시간 휴무제 갈등의 시작은 지난해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대구지역본부(전공노 대구본부)와 홍준표 대구시장의 설전에서부터 비롯됐다. 전공노 대구본부는 지난해 11월 기자회견을 통해 '2023년 1월1일 대구지역 점심시간 휴무 전면 시행 선포'를 촉구했다. 이들은 12월부터는 주요 네거리 100여 곳에 '내년부터 8개 구·군청에서 점심시간엔 근무하지 않는다'는 현수막을 게시하기도 했다.

반면, 홍 시장은 점심시간 휴무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2차례나 밝힌 바 있다. 홍 시장은 지난해 11월 "생업에 바쁜 시민이 점심시간 짬을 내 민원실에 오는 경우가 허다한데 그런 경우 민원실이 폐쇄돼 있으면 얼마나 황당하겠냐. 지자체 내부에서 교대·유연 근무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선 공무원들은 점심시간 휴무제를 대체로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공무원 A씨는 "통합 민원과 팩스민원 종류가 많아지면서 한 명의 담당자가 여러 가지 업무를 도맡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담당자가 교대할 경우 업무 공백이 생기는 경우를 많이 봤다"며 "반대할 공무원들이 있을까 싶다"고 했다.

반면, 시민들은 민원 편의를 위해서라도 기존 근무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직장인 박모(45·대구 달서구)씨는 "공무원의 휴식 시간을 존중하는 것도 공감하지만, 직장인 입장에서는 민원 처리 시간이 점심시간 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대구시민 최모(59)씨는 "기존 교대근무를 통해 생업에 바쁜 민원인들의 편의를 보장해야 한다"라며 점심시간 휴무에 반대하기도 했다.

전공노 대구본부 관계자는 "21일 구청장·군수협의회 논의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며 "협의회는 '점심시간 휴무제'를 실시하겠다는 입장을 계속 밝혀왔다. 협의회에선 4월 시행 전 불편을 최소화할 무인민원발급기 추가 설치 등 제반 조건에 대한 실체적 논의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8개 구·군 단체장들은 이 문제에 대해 '신중론'을 유지하고 있다. 협의회는 관련 논란이 불거졌던 지난해 11월에는 △2023년 1월부터 3개월 간 홍보 △4~9월 시범 운영 후 지속·폐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한 바 있다. 조재구 대구 구청장·군수협의회 회장은 "관련 여론조사에서 휴무제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많아 고민이다. 내일 협의회에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동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