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일 오전 2·28민주운동 기념식 전 두류공원 내 2·28민주운동기념탑 참배 행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홍준표 대구시장, 강기정 광주시장 등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는 모습. 대구시 제공 |
![]() |
2·28민주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왼쪽부터 강기정 광주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박영석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장, 한덕수 국무총리. 대구시 제공 |
"독재와 폭압, 불의에 타협하지 않은 대구시민의 기백"
제63회 2·28 민주운동 기념식이 28일 오전 대구 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열렸다. 기념식에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 홍준표 대구시장, 강기정 광주시장,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등은 2·28민주운동기념탑을 참배했다.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대규모 인원이 모인 채 열린 기념식엔 민주운동 유공자, 대구지역 고교생들도 참석해 독재에 저항했던 선배들을 기렸다.
특히, 기념탑 참배는 지역 고등학생을 주축으로 일어났던 2·28민주운동의 정신을 후배 고등학생들이 대구의 자랑스러운 역사로 이어간다는 다짐을 전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기념식에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는 "1960년 2월 28일 대구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대장정이 시작된 역사의 현장이었다"며 "그 중심에는 민주주의를 향한 뜨거운 열망과 독재정권의 불의에 항거하는 2천여 명의 고등학생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2·28민주운동은 광복 이후 최초의 학생운동으로 3·15의거와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다"며 "정권의 독재와 폭압,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학생들의 강력한 의지와 대구시민의 기백을 꺾을 수 없었다"고 평가했다.
박영석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 회장은 기념사에서 "자유와 민주는 물과 공기와 같다"며 "63년전 오늘 우리나라 최초 민주화 운동의 기록이 시작됐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 2·28정신을 이어받아 자유와 민주를 지키고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한편 2·28민주운동은 1960년 자유당 독재에 맞서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나선 '반민주 학생 저항 운동'이다. 당시 자유당 정권이 학생들의 야당 유세장 참석을 막기 위해 대구 시내 8개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일요일 등교 지시를 내리자 고등학생들이 항거하며 일으킨 저항 운동이다.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됐고 매년 보훈처가 행사를 주관하고 있다.
대구시는 28일까지 대구시민주간을 계기로 '2·28민주운동 기념사진전', '놀이로 기억하는 2·28민주운동' 등 다채로운 문화 체험 행사도 함께 열고 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