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밀양에 가면 우리나라 최고 누각 중 하나인 영남루가 있다. 워낙 유명한 곳이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한 번쯤 들어본 듯한 이름이다.
그러나 영남루 옆 밀양강 상류 절벽 위에 있는 천년고찰 ‘무봉사’는 생소하게 느껴질 것이다. 무봉사는 봉황이 춤추는 절이라는 뜻을 지닌 사찰이다.
밀양시장 맞은 편에 있는 영남루 공영주차장에 주차하고 길을 나서면, 영남루로 오르는 길과 무봉사로 바로 통하는 두 갈래 길이 나온다.
그 유명한 밀양아리랑의 가사가 적힌 기념 석탑을 지나, 시원한 대나무가 쭉 뻗은 오르막길을 오르다 보이는 계단을 조금 올라가면 ‘일주문’이 나온다.
그 문을 지나 무량문을 지나면, 자그마한 천년 고찰 무봉사의 중심 전각인 대웅전이 살포시 고개를 내민다.
무봉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통도사의 말사로, 773년(신라 혜공왕 9) 법조(法照)가 큰 봉황이 날아와 춤을 추는 것을 보고, 영남사의 부속 암자로 세웠다는 설화가 내려올 만큼 작지만 아름다운 풍경으로 알려진 사찰이다.
지금의 영남루 자리가 바로 영남사(嶺南寺)였고, 무봉사는 1359년(고려 공민왕 8) 영남사가 화재로 소실되는 바람에 무봉암을 무봉사로 승격시켰다고 한다. 이후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 때 또다시 불에 타 1605년(선조 38) 혜징(慧澄)이 법당과 칠성각·수월루를 새로 지었다.
1628년(인조 6) 경의(敬儀)가 고쳐서 다시 지었으며, 1899년(광무 3) 경봉(慶蓬)이 중건하고, 1942년에 중수하여서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무봉사는 대웅전과 삼성각·종루·요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대웅전에는 보물 제493호 ‘석조여래좌상’이 있다. 이 불상은 복잡하면서도 화려한 유물로 9세기경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옛 영남사 터에서 옮겨온 것이다.
불상은 약 1미터 정도 크기에 약간은 각진 얼굴, 가늘며 옆으로 찢어진 눈과 입체감 있는 코와 입술. 짧고 굵은 목은 단정함과 안정감을 느끼게 해준다. 대웅전을 뒤로하면, 각자의 소원을 적은 나뭇잎 모양의 쪽지들이 바람에 팔락거리고 있다.
그 너머로는 어느새 봄을 알리는 매화가 수줍게 피어있다. 나무와 봄꽃 사이로 흐르는 푸른 물줄기 밀양강이 보인다. 밀양강은 울주군의 고현산에서부터 흘러 낙동강으로 합류하는 강으로, 영남루와 밀양 시가지를 기다란 S자로 감싸며 흐르는 물길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평온해진다.
무봉사에는 태극 나비의 전설이 내려져 온다. 신라 말 국운이 기울고 혼란한 시기 태조 왕건이 후백제와 한창 전쟁을 치르고 있던 음력 2월, 갑자기 날아든 태극무늬 날개의 나비 떼가 몰려와 아랑산을 뒤덮었다고 한다.
그 후 태조가 통일을 이뤘고, 태극 나비가 나타날 때마다 나라에는 경사가 있었다. 국가에서는 태극 나비를 보호하고, 이를 국정접이라고 부르라는 왕명까지 내렸다고 한다.
또한 이곳에는 조선 명종 때 정절을 지키려다 억울하게 죽은, 전설의 주인공 아랑을 모신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6호 아랑각'이 있다.
주인공 '윤동옥'은 유모의 꼬임에 빠져 영남루로 달구경을 갔다가, 관청 심부름꾼이 겁탈하려고 하자 죽음으로 순결을 지켰다고 한다.
그 후 밀양에 부임하는 부사마다 첫날밤에 죽어나가는 일이 생기고, 용감한 ‘이상사’라는 부사가 부임해 아랑의 원혼으로부터 사연을 듣고 유모와 잔심부름꾼을 처벌하자 더 이상 귀신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1977년부터 KBS가 방영한 한국 최초의 시즌제 스릴러 드라마로 납량특집 드라마의 원조 ‘전설의 고향’에서 보았던 내용의 전설이다. 아랑각의 표지판을 읽으니, 바로 기억날 정도로 무서웠던 장면이었다.
잠시 오싹함을 떨치고 발길을 돌려 대웅전을 지나면, 조그마한 약사전이 보이는데 자칫하면 지나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작다. 그러나 이곳 역시 하나의 전각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한다.
그 옆에는 종각을 지나서 하늘로 향한 대나무를 따라 걸으면 소공원과 영남루로 통하는 길이 보인다. 무봉사는 비교적 주차시설이 잘되어있고. 어린아이도 충분히 걸어 오를 수 있는 잘 닦인 길과 그리 가파르지 않은 계단. 가족 여행지로는 손색이 없다.
무봉사에서 만난 현지 주민은 비 오는 날의 '무봉사' 는 더 운치가 있다는 귀뜸을 해 준다. 특히 봄에는 매화, 가을에는 단풍으로 계절마다 보여주는 모습이 색다르다고 하니, 무봉사에서 추억도 만들고 호젓한 휴식을 즐기러 떠나보는 것도 좋겠다.
한유정기자 kkama@yeongnam.com

한유정
까마기자 한유정기자입니다.영상 뉴스를 주로 제작합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