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월 경상수지가 흑자전환에 실패하면서 11년 만에 처음으로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
지난 2월 경상수지가 흑자 전환에 실패했다. 11년 만에 처음으로 두 달 연속 적자다. 무역 수지 적자 폭이 줄면서 경상수지 적자 폭이 1월에 비해서는 큰 폭으로 축소됐지만 여전히 경상수지가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 2월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2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5억 2천만 달러(약 6천 861억 원) 적자로 집계됐다. 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적자 행진이다. 지난해 2월(58억7천 만 달러 흑자)보다 63억8천 만 달러나 줄었다. 경상수지가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12년 1∼2월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2월 경상수지를 항목 별로 분석한 결과 상품 수지가 1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5개월 연속 적자다. 게다가 1년 전(43억 5천만 달러 흑자)과 비교해 수지가 56억 5천만 달러나 급감했다.
수출(505억 2천만 달러)도 지난해 2월보다 6.3%(33억 8천만 달러) 줄었다. 앞서 지난해 9월 수출이 23개월 만에 처음 전년 같은 달보다 감소한 후 6개월 연속 하락세다.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반도체(통관 기준 -41.5%), 화학공업 제품(-9.8%), 철강 제품(-9.2%)도 부진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5.0%), 중국(-24.3%), 일본(-5.4%)으로의 수출이 위축됐다.
서비스수지 역시 20억3천만달러 적자다. 지난해 2월 9천만 달러 흑자에서 1년 사이 수지가 21억2천만 달러나 줄었다.
코로나19 관련 방역 완화도 영향을 미쳤다. 여행수지 적자는 1년 새 4억3천만 달러에서 두 배 이상인 10억1천만 달러로 늘었다.
지난 3월 한은은 무역 적자 폭이 개선되면서 경상수지가 균형 수준을 보일 것이라 예측했다. 하지만 서비스수지의 불확실성과 화물 운임 하락으로 인한 운송수지 악화 가능성도 보인다고 전망했다.
관계당국은 경상수지 연간 200억 달러 흑자를 기대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코로나19 요인으로 인해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보였던 서비스수지가 최근 들어 운송 및 여행수지를 중심으로 지난해보다 악화되며 경상수지 흑자 흐름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정부의 내수 활성화 대책이 속도감 있게 추진돼 여행수지 개선 효과를 얼마나 창출할 지가 올해 경상수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