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원영 (농협중앙회 대구본부장) |
오늘(4월11일)은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도시농업의 날'이다. 2017년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농업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정됐다. 도시농업의 날을 풀어보면 두 가지 의미가 합쳐져 있다. 4월은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되는 달이다. 11일은 한자로 나타내면 '十一'이며, '十'과 '一'을 합치면 '土(흙 토)'가 되어 흙을 상징한다.
도시농업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도시농업 참여자는 184만8천명, 텃밭 면적은 1천60㏊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 15만3천명, 104㏊보다 10배 이상 성장한 규모다. 일각에서는 도시농업이 확대될수록 농촌지역 농업인이 생산하는 농산물의 판매가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하지만 이는 기우에 불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23년 전국 채소류 재배면적을 25만㏊로 전망하고 있다. 도시텃밭 대부분이 채소류를 재배한다고 감안하더라도 도시농업 재배면적(2020년 기준 1천60㏊)의 비율은 전국 채소류 재배면적의 0.42%에 불과하다.
도시농업은 오히려 도농상생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 우선 국산 농산물의 소비확대다. 도시농업 참여 경험이 쌓일수록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이는 국산 농산물 애용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텃밭 체험이 도시민을 귀농·귀촌으로 이어줄 수 있으며 정서함양·치유기능을 통해 기술 발달에 따른 여러 사회문제도 완화할 수 있다. 다양한 활동과 먹거리 체험을 통해 전통문화와 식문화 계승 역할도 해줄 수 있을 것이다.
도시농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도시농업관리사 양성 및 도시농업 교육기관 확충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관 주도의 정책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도시민이 주도한 실천적이고 공동체 중심의 참여가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지금 우리 농업·농촌·농업인은 농산물 수입 개방, 농촌 고령화에 따른 영농인력 부족, 인건비 상승, 자잿값 인상 등 수많은 요인으로 인해 위기에 처해 있다. 농촌이 살아야 도시가 살고 나라가 산다. 농업의 발전 없이 선진국이 된 나라는 없다. 도시농업을 통해 도시민이 농업·농촌의 소중한 가치를 몸소 느끼기를 바란다. 도시농업이 국민의 농업에 대한 인식을 더 높이고 도시와 농촌의 상생에 가교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
손원영 (농협중앙회 대구본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