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내년 예산 중점 반영

  • 구경모
  • |
  • 입력 2023-06-14 16:48  |  수정 2023-06-14 16:48  |  발행일 2023-06-14
기획재정부 재정 운용 전략위원회서 밝혀
대구경북혁신플랫폼 지난 5월 RISE 선정
2023061401000440400017341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 기재부 제공.

정부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을 내년 예산에 중점 반영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 주재로 열린 재정 운용 전략위원회에서 "핵심 재정사업 12개를 내년 예산에 중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12개 사업은 △반도체 인력양성·기술개발·사업화 지원 △예술인·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 취약 근로자의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 △장애인 돌봄 △청년 일자리 및 자산형성 지원 △지방자치단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 △공급망 핵심 품목 생산 기반 구축 강화 △산불대응 능력 강화 △창업성장기술개발 및 민관협력창업육성 등이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은 지역발전계획과 연계한 지역대학 지원을 통해 '지역인재양성-취·창업-정주'의 지역혁신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정부는 성과지표로 플랫폼당 지역 내 취·창업자수를 올해 420명에서 2027년 500명으로 잡았다.

재정투자 방향으로는 2023~2024년간 RISE 시범지역 운영 후 2025년부터 RISE체계(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로의 전환을 추진하되, 성공적인 RISE 체계 전환을 위한 재정지원 방식·규모·체계 등을 사전검토할 방침이다.

앞서 '대구-경북 지역혁신플랫폼'이 지난 5월 RISE 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대구경북지역혁신플랫폼'은 대구시와 경북도가 함께 참여하는 복수형 플랫폼으로, 총괄 대학인 경북대와 중심대학인 영남대를 비롯한 23개 대학, 14개 지역 혁신기관과 연구소, 200여 개의 지역 기업들이 참여한다. 최대 5년간 3천 316억 원을 투입해 핵심분야 중심으로 교육체계 개편과 지역혁신기관과의 협업 과제를 수행한다.

최상대 차관은 "국민 체감도가 높고 국정 비전이 반영된 12대 핵심재정사업에 대해 향후 재정을 중점 투자해 나가면서, 예산편성-집행-성과관리의 전(全)주기에 걸쳐 2027년까지 5년간 지속적으로 밀착·집중 관리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 내겠다"고 강조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