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일 오후 3시 대구 중구 대구행복진흥원 SISO 오픈교육장에서 시민사회단체가 지난 5월 청구한 '대구광역시 위기가구 종합지원 계획'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
정책토론 청구와 관련해 대구시와 시민단체 간 갈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우여곡절 끝에 시민단체가 청구한 정책토론회가 6일 열렸다.
이날 대구시와 지역 시민단체는 중구 대구행복진흥원 SISO 오픈교육장에서 '대구시 위기가구 종합지원 계획 정책토론회'를 열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토론회에는 지은구 계명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박만원 복지정책과 주무관, 은재식 우리복지시민연합 사무처장이 발제를 맡아 발표했다. 또 서유미 학산종합사회복지관 부장, 진혜민 대구시행복진흥원 정책연구실 연구3팀장, 서창호 반빈곤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이 토론자로 나섰다.
김외철 대구시 복지정책과장은 인사말에서 "대구시는 더 빨리 찾아내고 더 넓게 참여하고 더 두텁게 보장하는 대책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고 "이번 토론회에서 참석자 고견을 귀담아듣고 시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하는 부분들을 정책에 반영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토론회에 앞서 날선 신경전이 오가기도 했다. 은재식 사무처장은 "대구시가 정책토론 청구인 수 기준을 높인 것에 대해 굉장히 아쉽게 생각한다"꼬집으며 "이 토론회가 처음이자 마지막 정책토론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고, 이런 자리가 자주 마련돼 다양한 의견들을 수시로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기가구 발굴·지원은 단순 복지만의 행정이 아닌 대구시 행정의 핵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만원 주무관은 발제에서 대구시의 위기가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종합지원 계획은 △연중 위기가구 상시 발굴·지원 체계 가동 △맞춤형 지원 및 지속적 사후관리 △시민참여를 통한 주민력 향상으로 지속가능성 증대 △복지서비스 전달 체계의 전문·연계성 강화 △위기가구 발굴 홍보 강화 등으로 구성되며, 향후 기초단체와의 협력과 다양한 조례 제정을 통해 보강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 주무관은 "사람과 사람을 이어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그 역할을 공무원만 하는 것이 아니고 민간과 지역주민이 함께 이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토론에서는 위기가구 발굴·지원을 위한 공공·민간·지역주민의 역할과 협력방안 등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앞서 지역 시민단체는 지난 5월 대구시의 정책토론 청구인 수 기준 상향에 대해 격한 반응을 쏟아내며 지금까지도 날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시민단체는 개정 조례안 시행일(5월 20일) 이전 총 8건의 정책토론을 청구했지만, 시는 이번 토론회를 제외한 나머지 7건에 대해 미개최 결정을 통보했다.
글·사진=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